1시간 일찍 출근·연차 소진 고민까지
적중률 상관없이 미리 대비하자는 의견도
18일 오전 서울 동작구 4호선 사당역 인근 버스 정류장에서 시민들이 환승을 위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2021.1.18/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강수련 기자,원태성 기자 = "아침 일찍부터 준비해서 나왔더니 회사에 너무 빨리 도착했네요. 화가 납니다."
기상청이 18일 '역대급' 눈 폭탄을 예보했지만 예상보다 적은 눈과 맑은 날씨에 오히려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경기도 수원시에서 광역버스를 타고 서울로 출퇴근하는 안모씨(30대)는 동이 트기 전인 오전 6시에 집을 나섰다. 얼마 전 폭설대란 때 퇴근길 버스에서 3시간 가량 갇혀 있었던 악몽을 되풀이하기 싫어서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눈으로 인한 도로 피해는 없었고, 안씨는 출근시간보다 1시간 넘게 빨리 회사에 도착했다. 안씨는 "이 정도면 기상청이 아니라 오보청"이 아니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실제로 이날 서울 등 수도권에 최고 7㎝의 눈이 내릴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수도권의 실제 적설량은 많아야 3㎝에 머물렀고, 이날 오전 전역으로 확대된 서울의 대설주의보는 오후 1시에 해제됐다.
이에 기상청은 "밤 사이에 남서풍이 약해졌고, 눈이 게릴라성 집중호우 같은 형태로 내려 서울을 비껴갔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눈은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많이 내렸다. 오전 7시20분 기준, 경북 봉화(석포)에는 10.8㎝가 쌓였고 전북 고창 9.9㎝, 전남 무안(해제) 9.3㎝, 함평 8.4㎝, 광주(과기원) 7.9㎝를 기록했다.
기상청의 오보가 이어지면서 시민들은 기상청 예보에 더 이상 기대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앞서 지난 해 여름철에도 기상청은 '강한 폭염'을 전망했지만, 중부와 제주지방에 최장장마가 내리고 태풍이 가을까지 이어져 여론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경기도 용인시에서 출퇴근하는 윤태준씨(34)는 "어제 대설특보를 받고 연차를 써야 하나 고민했는데, 눈이 별로 안 와서 (연차를) 썼으면 아까웠을 뻔 했다"며 "평소 기상청 예보를 믿지 않아 그러려니 한다"고 시큰둥해했다.
서울 관악구에서 거주하는 이모씨(31)는 "어제부터 폭설대란이라고 난리를 쳐서 아침에 30분 일찍, 꽁꽁 싸매고 나왔는데 눈이 다 녹아있었다"면서 "한파 때 잘 맞히길래 다시 (기상청 예보를) 믿어보려고 했더니 결국 또 오보를 냈다"고 지적했다.
직장인 김보형씨(31)도 "아침에 출근했더니 팀원들이 출근 30분 전에 다 도착해 있었다"며 "1주일 뒤 일기예보가 틀리는 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지만 바로 다음날 불과 몇시간 후의 일기예보도 틀리면 기상청의 예보가 의미가 있나 싶다"며 질타했다.
기상청의 예보 적중률과 상관없이 미리 철저한 준비를 해놓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시흥에서 서울로 출퇴근을 한다는 민명자씨(61)는 "예보와 다르게 눈이 조금 왔지만 도로에 제설이 잘 돼 있어 큰 불편함이 없었다"며 "도로에 눈이 조금만 쌓여도 안 치워놓으면 금방 미끄러워지는데 오늘은 대비를 잘 해놓았다"고 말했다.
직장인 손세현씨(34)는 "이번 일을 계기로 '예보는 어차피 틀릴 것'이라고 생각해 준비하지 않다가 대란이 일어나는 일이 생길까봐 걱정된다"며 "기상청을 아무리 믿지 못하더라도 예보가 내리면 우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강설 예보에 따라 시민들이 출근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퇴근길 교통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손씨는 "오늘 아침 지하철에 평소보다 사람이 많았는데 퇴근 때에도 사람들이 몰릴까봐 걱정된다"고 밝혔다.
평소 광역버스에 사람이 많이 몰려 일부러 늦게 퇴근한다는 안씨도 "오후 1시 이후에 눈이 그쳐서 크게 걱정하지 않지만, 혹시라도 평소보다 사람이 몰려 앉아서 가지 못할까봐 상황을 지켜봐야겠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이날 밤에도 강원도, 충청권, 전남권 북부, 경북권 등 전국 곳곳에서 눈이 이어진다고 예보했다. 또 이날 밤부터 기온이 떨어져 전국 -20도대, 서울 -15도대의 한파가 이틀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training@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