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약육강식 백신전쟁…국력따라 3900만회분 vs 25회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코로나 국내발생 1년 ◆

매일경제

코로나19 백신 확보 경쟁에서 저소득 국가가 밀려나는 현실에 대해 비판이 일고 있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백신 확보 전쟁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18일(현지시간) WHO 이사회에서 국가 간 백신 확보와 접종 격차가 커지고 있는 점을 비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이날 "부유한 49개국은 지금까지 백신 3900만회분을 접종했지만, 최빈국 중 한 곳은 2500만회분도, 2만5000회분도 아닌 단지 25회분만 접종받았다"고 밝혔다.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아울러 "세계는 파멸적인 도덕적 실패 직전에 있다"며 "이 실패의 대가는 가장 가난한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생명과 생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백신 제약사와 부유한 국가 간 거래가 지난해에는 44건, 올해 들어서는 최소 12건 체결됐다"며 "대부분 제조사가 부자 나라 규제당국의 승인을 우선시한다는 점이 상황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영국, 미국, 캐나다가 지금까지 선구매한 코로나19 백신이 모두 승인되면 전체 인구의 4배 이상을 확보하게 된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백신 확보와 접종 우선순위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미국 뉴욕주는 제약사에 연방정부를 거치지 말고 직접 백신을 팔라고 요청했다. 민주당 소속인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이날 앨버트 부를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에게 서한을 보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을 직접 사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CNBC가 전했다.

뉴욕주뿐만 아니라 역시 민주당 소속인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주지사도 화이자로부터 백신 직접 구매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주정부가 직접 제약사에서 백신을 사려는 것은 연방정부를 통한 백신 보급이 원활하지 않아서다. 화이자는 이에 대해 "미국 보건부와 가능한 한 많은 미국인에게 신속하게 백신을 배포하기 위해 협력하겠다"는 원론적인 대답만 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에게 백신 접종 우선권을 줬다가 비판에 휩싸였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백신 접종에 부정적 인식을 가진 대중을 설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로 시작했지만 효과가 작아 백신을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FT에 따르면 최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약 1%만이 코로나19와 관련해 소셜미디어 스타들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한편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WHO와 중국의 대처가 느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팬데믹 준비 및 대응을 위한 독립적 패널(IPPR)'이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IPPR는 WHO가 코로나19 긴급위원회를 지난해 1월 22일 전까지 소집하지 않았고, 국제적 공중보건비상사태(PHEIC) 선포도 주저했다고 비판했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