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6 (일)

전하이동도 높인 ‘2차원 유기반도체’ 개발…플렉서블 기기 상용화 이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UNIST 백종범 교수팀, 전하이동도 수십 배 개선한 2차원 유기 반도체 소재 합성

헤럴드경제

‘C5N(씨파이브엔) 2차원 유기 고분자 구체의 필름형태 합성 사진.[UN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활용되는 ‘유기반도체’의 전하이동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팀은 방향족 고리화 반응을 통해 ‘C5N(씨파이브엔) 2차원 유기 고분자 구조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유기 고분자 구조체를 얇은 필름 형태로 만들어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FET)에 썼을 경우 전하이동도가 수십 배 이상 빨라졌다. 또 이 구조체에 염화수소(HCl)를 도핑하면 전기전도도 또한 크게 높아져 전도성 물질로도 쓸 수 있다.

유기반도체는 유연하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낮은 공정비용, 물성 조절의 용이성 등 다양한 장점 때문에 무기물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할 소재로 최근 수십 년간 활발하게 연구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기반도체는 기대치에 못 미치는 전하이동도 때문에 무기반도체 소재를 대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두 종류의 화학물질을 반응시켜 C5N(씨파이브앤) 구조체를 얻었다. 이 구조체는 탄소(C)로만 6각 고리를 이루는 그래핀과 달리 2차원 구조에 균일한 기공과 질소원자(N)가 첨가돼 우수한 전하이동도(전자 996㎠V⁻⊃1;s⁻, 정공 501 ㎠V⁻⊃1;s⁻)를 갖는다. 이는 이제껏 보고된 유기반도체 전하이동도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전하이동도는 소재 내부에서 전자나 정공이 움직이는 빠르기로, 전하이동도가 낮은 소재로 반도체 소자를 만들면 전기적 신호 전달이 더뎌지고 디스플레이 등에서 색상 변환 지연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개발된 2차원 물질의 고리 구조는 ‘방향족 고리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구조라 매우 안정적이며 600℃의 고온도 잘 견딘다. 뿐만 아니라 이 구조체는 기존 전도성 고분자인 사슬형 폴리아닐린보다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갖으며, 염화수소를 도핑하면 전도성이 140배 이상 향상돼 다용도 전도성 고분자로 사용할 수 있다.

백종범 교수는 “이번 연구로 2차원 고분자를 유기반도체 재료로 사용했을 때의 고질적 문제인 낮은 전하이동도를 극복했다”며 “앞으로 유기 반도체 소자 개발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 연구팀과 함께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20일자로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