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AI 데이터 가공기업 데이터헌트, 피스컬노트로부터 22억원 투자 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 기반 데이터 수집·가공 기업인 데이터헌트가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피스컬노트(FiscalNote)로부터 22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미국계 IT 기업인 피스컬노트가 국내 기업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 것은 이례적으로, 데이터헌트는 데이터 수집, 처리, 검수, 인력관리 전반을 AI가 처리하는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데이터 수집 및 가공에 AI 기술을 도입했으며, AI가 전처리한 데이터를 사람이 검수하고 결과물을 다시 한번 AI가 후처리하는 휴먼인더루프 방식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AI 개발업체들은 데이터 라벨링, 바운딩 등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가공하는 과정을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해왔다. 데이터헌트는 AI와 사람을 거치는 검증단계를 통해 정확도를 높이고 리소스를 줄였다.

데이터헌트는 한앤컴퍼니에서 사모펀드 투자 업무를 담당하고 뉴욕 시티뱅크에서 M&A 업무를 수행했던 김태헌 대표를 비롯한 네이버, 카카오, 삼성 등 국내외 대표 기업 출신 엔지니어들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NHN 이미지 검색 서비스, 위메프 패션 상품 속성 추출 및 이미지 라벨링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KAIST,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등 국내외 기업 및 기관들과 협업했다. 이를 통해 지난 1년간 약 127만건에 달하는 데이터와 약 403만개의 라벨을 구축했다.

미국 워싱턴DC에 본사를 둔 AI 기반 법률 및 정책 분석 플랫폼 기업인 피스컬노트는 이런 데이터헌트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를 결정했다.

피스컬노트 팀황 대표는 "피스컬노트는 AI 기반 법률 데이터 플랫폼을 운영하는 만큼 높은 정확도의 원시 데이터 분석에 대해 관심이 많다"며 "데이터헌트의 기술력을 토대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한국 AI 시장에 진출해 사업을 확대하고 플랫폼을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헌트 김태헌 대표는 "많은 AI 기업들은 핵심 분야 알고리즘 개발보다 데이터 가공에 시간을 더 쏟고 있는 현실"이라며 "자체 개발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통해 최소한의 시간과 비용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해 국내외 AI 기업들의 성장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헌트는 이번 투자로 마련된 재원을 바탕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AI 모델의 SaaS(서비스형소프트웨어) 구독 서비스와 비정형 데이터 수집 플랫폼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