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SK그룹, 내년부터 “100% 수시채용”…신입공채 폐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파이낸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SK서린빌딩. 사진=뉴시스


[세계비즈=김진희 기자] SK그룹이 내년부터 정기 대졸 신입사원 공개 채용을 전면 폐지하고 전원 수시 채용으로 전환한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전날 내부 회의에서 이 같은 방침을 확인했다. 다만 채용 방식이 변하더라도 채용 규모는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SK그룹은 2019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을 기존 전 계열사가 동시에 뽑는 정기 채용에서 계열사별로 수시 채용하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전환, 2022년부터 100% 수시 채용을 하기로 내부 계획을 세웠다.

SK그룹 관계자는 “취업 준비생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시 채용으로 전환해 왔고 내년에는 정기 채용을 아예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SK그룹은 매년 상·하반기 정기 채용과 수시 채용 등을 통해 연간 약 8500명 규모를 선발해왔다. 2019년에는 10개 관계사가 동시에 대졸 신입사원을 정기 채용했고, 작년에는 SK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 C&C, SK브로드밴드, SK매직 등 6개 관계사가 정기 채용 과정을 진행했다.

다만 이번 수시 채용 전환 방침에 따라 올해는 대다수의 관계사가 정기 채용을 함께 진행하는 대신 사별로 수시로 인재를 선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SK그룹은 올해 전체 채용 규모는 확정하지는 않았으나, 대략 예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미 주요 대기업들은 과거의 정기 채용 방식에서 벗어나 수시 채용을 확대·전환하는 추세다. LG그룹은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 실시하던 정기 채용을 작년부터 폐지하고 연중 상시 채용으로 전환했다. 또한 신입사원 70% 이상을 채용 연계형 인턴십으로 선발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매년 상·하반기에 정기 공채를 해오던 KT 역시 작년부터 공채 폐지를 선언하고 수시·인턴 채용으로 전환했으며, 앞서 현대차그룹도 2019년부터 대졸자 공채를 없애고 수시 채용을 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선발에 대규모 자원이 소요되는 정기 채용보다 수시 채용이 경쟁력 있는 인재 선발에 좀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재계 관계자는 “한꺼번에 대규모 인원을 선발하는 공채 방식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소위 말하는 ‘스펙’ 위주로 검증할 수밖에 없어 유능한 인재를 적시에 선발하는 데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기업들의 정기 채용 폐지 움직임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수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모여 시험을 치르기 어려워진 것 역시 이 같은 기조를 공고히 하는데 보탬이 될 전망이다.

purpl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