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삼성전자, 작년 4분기 기대 이하…코로나 넘었지만 원화 강세·경쟁 심화 ‘직면’(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업 전반 수요 좋았지만 다양한 변수 작용…전년동기대비는 개선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삼성전자가 2020년 4분기 실적발표 및 컨퍼런스콜을 실시했다. 기대보다 낮은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달러 약세, 메모리 가격 하락세, 스마트폰 및 가전 경쟁 심화 등이 겹쳤다. 디스플레이 사업 호성적은 위안거리다. 올해 1분기도 비슷한 흐름이 예상된다.

28일 삼성전자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기준 2020년 4분기 매출액 61조5500억원 영업이익 9조50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기대비 8.1% 줄고 전년동기대비 2.8%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26.8% 하락, 전년동기대비 26.4% 상승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36조8100억원과 35조9900억원이다. 각각 전년대비 2.8%, 29.6% 올랐다.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사뭇 다른 분위기를 보였다. 메모리반도체는 수요는 좋았으나 평균판매가격(ASP) 하락, 환율 영향 등이 부정적이었다.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 마케팅팀 한진만 전무는 '3분기부터 회복된 모바일 시장과 데이터센터, PC 등 수요가 양호했지만 급격한 달러 약세와 신규 팹 초기 투자 비용 영향으로 이익은 줄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5세대(5G) 이동통신 인프라 확대, 데이터센터 업체의 재고 조정 마무리 등이 긍정 요소다. 삼성전자는 상반기 내 서버 고객사의 메모리 구매가 재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한 생산능력 확대를 지속한다. 평택 2공장, 시안 2공장 등 구축에 한창이다. 10나노급 3세대(1z) D램과 6세대 V낸드 비중을 늘리는 동시에 차세대 제품을 올해부터 본격 생산한다.

시스템LSI와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부는 모바일 시장 회복 등으로 매출이 개선됐지만 달러 약세는 피하지 못했다. 시스템LSI는 엑시노스1080 출시, 파운드리는 매출 신기록 행진이 플러스 요소다. 두 사업부는 올해 견조한 실적이 예상된다. 파운드리의 경우 생산능력 확대가 진행된다.

디스플레이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애플의 '아이폰12' 시리즈가 대박을 쳤다. 대형에서는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반등이 호재다.

삼성디스플레이 마케팅팀 최권영 상무는 '지난해 하반기 경기 반등세와 스마트폰, TV 등 주요 제품 수요 지속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중소형은 가동률 향상이 됐고 대형은 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적자 폭을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퀀텀닷(QD)디스플레이 생산을 시작한다. 중소형 경쟁 심화가 예고되는 가운데 대형에서 만회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보기술 및 모바일커뮤니케이션스(IM)부문은 스마트폰 부진이 뼈아프다. 애플과의 경쟁에서 밀린 분위기다. 지난해 4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6000만대 내외다. 전기대비 2000만대 전년동기대비 800만대 줄어든 수준이다. 올해 1분기는 조기 출시한 '갤럭시S21' 시리즈 성적이 관건이다. 접는(폴더블) 스마트폰 라인업 대중화도 노린다.

네트워크 사업은 국내 및 북미의 5G 사업 확대로 전기대비 실적이 올랐다. 올해는 일본, 중남미, 유럽 등 신규 기회를 지속 발굴하는 등 사업 확장에 나선다.

소비자가전(CE) 부문에서는 LCD 패널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전기대비 TV 실적이 하락했으나 보복소비(펜트업) 추세는 이어졌다. 지난해 4분기 TV 판매량은 한 자릿수 초반 성장했다. 올해는 LCD 기반 미니LED TV 시장이 열린다. 삼성전자는 '네오QLED TV'로 해당 수요를 잡겠다는 복안이다.

가전은 비스포크, 그랑데AI 등 판매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올해는 혁신 신제품 출시 및 프리미엄 제품 확판을 통해 상승세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지난해 설비투자액(CAPEX)은 38조5000억원이다. 반도체 32조9000억원, 디스플레이 3조9000억원 등이다. 오는 2023년까지 대형 인수합병(M&A)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수년 간 M&A 대상을 신중히 검토했고 많은 준비가 된 상태'라며 '의미 있는 M&A가 실현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주주환원정책을 강조했다.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최윤호 사장은 '삼성전자는 향후 3년간 기존과 같이 잉여현금흐름의 50% 주주에 환원한다는 정책을 유지하면서 정규 배당 규모를 연간 9조8000억원으로 상향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