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금호家 삼촌-조카 '마이웨이'…금호석화 경영권 분쟁 조짐,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금호석유화학에 경영권 분쟁이 재연될 조짐이다. 2009년에는 '형제의 난'이었다면 이번엔 '조카의 난' 가능성이 높다.

재계에서는 박인천 창업주의 3남인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4남 박찬구 회장 간 '형제의 난' 이후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금호석유화학그룹으로 분리됐던 과거를 떠올린다.

금호석유화학 내에서 금호가 3세인 박철완 상무와 박찬구 회장의 아들인 박준경 전무도 결국은 각자의 길로 가지 않겠냐는 판단이다. 전날 박철완 상무의 기습 공시는 '마이웨이'의 시작이란 업계의 견해가 나온다.

◆ 박찬구 회장+박준경 전무 VS 박철완 상무

28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박철완 금호석유화학그룹 상무는 전날 공시를 통해 "기존 대표 보고자(박찬구 회장)와의 지분 공동 보유와 특수관계를 해소한다"고 밝혔다. 재계에서는 이를 경영권 분쟁 개시의 신호라고 해석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 [사진=금호석유화학] 2020.04.22 yunyun@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선 이들의 관계는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주인 고(故) 박인천 회장에서 시작된다. 박철완 상무는 박인천 회장의 2남인 고(故) 박정구 금호그룹 3대 회장의 아들이다. 박찬구 회장은 박인천 회장의 3남으로 박준경 전무가 그의 아들이다.

금호석유화학은 박 회장과 박 상무 등 가족 지분을 통해 경영권을 유지해왔다. 박찬구 회장(6.7%)과 박준경 전무(7.2%), 박철완 상무(10%) 등 24%을 보유해왔다.

하지만 이번 공시를 통해 박철완 상무가 개인주주로 빠지면서 박찬구 회장 일가의 지배력은 14%로 낮아져 경영권 방어에 취약한 상황에 놓였다.

◆ 박철완 상무 + IS 동서 ?

재계에서는 박철완 상무가 외부 세력과 손 잡고 경영권 찬탈에 나서는 수순으로 갈 것으로 해석한다.

실제 박철완 상무는 전날 금호석화 측에 배당 확대와 이사 교체 등을 요구하는 내용의 주주 제안서를 발송했다. 박철완 상무는 교체될 사외이사로 자신에게 우군이 될 만한 인물을 공식 추천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더해 재계에서는 지난해 9월부터 1000억원을 들여 금호석유화학 주식을 집중 매집한 중견 건설업체인 IS동서를 주목하고 있다. 이들이 확보한 지분은 3~4%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박철완 상무의 지분 10%를 더하면 박찬구 회장(14%)과 비슷하게 된다.

IS동서의 지분 매입 방식이 앞서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의 불씨를 당겼던 3자 연합의 주축 반도건설과 비슷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혁운 IS동서 회장은 권홍사 반도건설 회장의 동생이다.

◆ 금호리조트 경영권 두고 이견?

재계에서는 그동안 경영권에서 밀렸던 박철완 상무가 '제 살길'을 찾아나선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지난해 7월 그룹 인사에서 박찬구 회장의 아들인 박준경 금호석유화학 전무가 상무에서 승진한 반면 박철완 상무는 승진 명단에서 빠지면서 이상 기류가 감지된 바 있다.

박철완 상무가 관심을 갖던 아시아나항공이 한진그룹으로 매각되며 다른 대상을 놓고 내부에서 이견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2006년 금호아시아나그룹 분리 이전인 2006년 아시아나항공 과장에 입사한 후 금호아시아나그룹 전략경영본부 등을 거쳐 금호석유화학으로 자리를 옮긴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금호석유화학에서 이번에 인수한 금호리조트를 박철완 상무에게 맡기려고 했지만 합의가 되지 않았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당황스러운 상황인데 박 상무에 대해 사실 관계를 파악 중이고 정리되는 대로 입장을 낼 것으로 본다"며 말을 아꼈다.

yunyu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