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SK ‘친환경 산업의 쌀’ 전기차용 전력반도체 시장 진출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iC 전력반도체 생산 체계 갖춘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 투자
고온·고전압서도 98% 전력 변환
기술장벽 높아 차세대 핵심 ‘각광’


파이낸셜뉴스

예스파워테크닉스 관계자가 칩 제조공정이 완료된 웨이퍼를 들어 보이고 있다. SK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그룹의 지주사인 SK㈜가 실리콘카바이드(SiC·탄화규소) 전력 반도체 기업 지분을 인수하고 본격적으로 전기차용 전력반도체 시장에 진출한다.

SK는 28일 SiC 전력반도체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는 유일한 국내기업인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원을 투자해 지분 33.6%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예스파워테크닉스는 지난 2017년 설립돼 기술력과 생산성 측면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10년 이상 SiC 전력반도체 개발 경력을 갖고 있는 연구·개발(R&D) 전문가를 주축으로 설립됐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자체 특허 23건을 확보했다. 고온 공정이 적용된 생산라인 등 SiC 전력반도체 생산 체제를 구축한 것도 예스파워테크닉스가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다.

SK는 이번 투자를 통해 국내 SiC 전력반도체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전력반도체는 전력이 필요한 전기차, 수소차, 5세대(5G) 이동통신망, 전자제품 등의 전류 방향을 조절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필수 반도체다. SiC 전력반도체는 고온과 고전압의 극한 환경에서도 98% 이상의 전력변환효율을 유지하는 등 내구성과 안정성, 범용성을 고루 갖춰 차세대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지난 2018년 세계 최대 전기차 메이커인 테슬라의 '모델3'에 SiC 전력반도체가 최초 양산 적용된 이후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기술 장벽이 높고 양산 능력을 갖춘 업체가 많지 않아 세계적으로 공급 부족이 지속되고 있다.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첨단소재 분야 중에서도 기술 난이도와 진입장벽이 높은 영역으로 꼽힌다. 고객 맞춤형 소량생산 방식으로 형성된 시장 특성상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최적화된 칩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이 밑바탕돼야 하고 고온 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생산 노하우도 필수적이다.

유럽 시장조사기관 IHS마킷 및 욜 디벨롭먼트에 따르면 전기차 등의 폭발적 성장에 힘입어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지난해 약 7억달러에서 2030년 약 100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32%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예스파워테크닉스는 포항에 100mm 및 150mm 혼합 생산 기준 전기차 약 14만대 분량에 해당하는 연산 최대 1만4400장 규모의 SiC 전력반도체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SK는 연구개발 지원 및 설비 증설 투자 등 예스파워테크닉스 고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그룹 내 반도체 및 웨이퍼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 방안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SK 관계자는 "기존 1~2세대 반도체가 '산업의 쌀'이었다면 SiC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친환경 산업의 쌀'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이번 투자를 통해 그룹 차원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실천을 가속화하고 SiC 전력반도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