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이슈 동학개미들의 주식 열풍

'동학개미 급증'에 삼전 주총 안내에만 10억원↑…장소 마련도 고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소액주주 215만명

일반우편 600원 기준, 우편비용만 최대 13억원

주주 급증·거리두기 따라 장소 물색도 고심

방역 비용·현장 기념품 비용도 늘어날 듯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지난해 삼성전자(005930) 주식을 산 ‘삼전 동학개미’가 급증하면서 오는 3월 중으로 열릴 예정인 정기 주주총회에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이번 주주총회를 안내하는 데만 약 10억원 이상의 금액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주주 급증 상황과 코로나19에 따른 거리두기를 동시에 고려해야 해 주주총회 장소 마련에 대해서도 고심 중이다.

이데일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되고 있는 올해 삼성전자 주주총회 패러디 게시물. 주주가 급증해 게임대회와 광화문 촛불집회와 같은 풍경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내용이다.(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으로 삼성전자 소액주주 숫자는 총 215만3969명이다. 1년 전인 2019년 12월 31일(56만8313명)과 비교해 무려 279% 늘었다. 이 가운데 개인이 214만5317명, 법인이 8652개다.

이처럼 주주가 급증하면서 정기 주주총회 소집을 안내하는 우편 비용만 기존 2~3억원대에서 10억원 이상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상법에 따르면 상장회사는 1% 미만의 소액 주주에게는 신문 공고나 전자 공시로 주주총회 소집을 대체할 수도 있지만, 일단 주주명부 폐쇄일인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만 본다면 약 215만명이 주주총회 소집 대상이다. 지난해부터 삼성전자에 도입된 전자투표제와 관계없이 주총 소집 우편 발송은 기본적으로 이뤄진다.

현재 일반 우편 기본비용인 350원에다 봉투·인쇄물 비용을 더하면 1통당 500원에서 600원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215만명에게 보내면 10억7500만원에서 12억9000만원이라는 금액이 산출된다. 여기에다 삼성전자의 주주총회 안내 우편 발송 대행 업무를 맡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인건비 등 수수료까지 부담해야 해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입장에선 주주총회 장소 마련도 고민거리다. 주주가 급격히 늘면서 벌써부터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선 ‘2021년 삼성전자의 주주총회 현장 상황’이라는 제목으로 인파가 대거 몰린 게임 대회 사진과 광화문 촛불집회 사진이 첨부된 게시물이 공유되고 있다.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은 지난해 12월 방역 조치를 준수하는 정기 주주총회에 대해서는 모임·행사 인원 제한 규제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기로 했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선 50인 이상 모임이, 2단계에선 100인 이상 모임이 금지되는데, 정기 주주총회의 경우 상법상 매년 일정한 시기에 이뤄져야 하는 데다 미개최 시 기업 경영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어 인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주주가 늘었다고 해서 삼성전자 주주총회 현장이 게임대회나 광화문 촛불집회 같은 진풍경이 펼쳐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띄어 앉기 등 방역 조치를 이행해야 해 주주를 모두 입장시키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속에서 처음 진행됐던 지난해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의 경우 1500석 규모의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으나 300여 명의 주주가 참석했다. 전년도 주총 1000명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숫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공간 면적 등이 달라질 수 있어 여러 가지 옵션 등을 준비해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해와 같이 외부 진료소, 음압텐트, 구급차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한 온갖 수단이 총동원 돼 이에 대한 비용도 적지 않게 소요될 전망이다. 이 밖에 주주총회 현장 참석자가 지난해보다 급증할 경우를 대비해 기념품을 얼마만큼 준비해야 할지도 고민이다. 삼성전자는 정기 주주총회마다 1인당 약 1만원 상당의 빵·음료 세트를 제공해 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