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종합] "공부 잘했으면 배달했겠냐" 어학원 직원 갑질 막말 논란…학원 측 "하원도우미, 이미 퇴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부를 잘했으면 배달했겠냐" "거지 같다" 막말

온라인서 공분…사과 공개되자 네티즌 "꼬리자르기" 비난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주 기자] 서울의 한 어학원에서 근무하는 강사가 배달업체 종사자를 두고 "공부를 잘했으면 배달했겠냐" 등 막말을 쏟아낸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됐다. 학원 측은 "강사가 아닌 하원도우미다. 퇴사 처리됐다"고 밝혔다.


지난 2일 온라인커뮤니티 웃긴대학 게시판에는 "너무 어이가 없고 화가 나서 여기에 글을 쓴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배달대행업체를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한 글쓴이는 "어제 우리 기사 중 한명이 너무 황당한 일을 겪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의견을 묻고 싶다"며 20분 분량의 녹음파일을 첨부했다.


작성자에 따르면, 지난 1일 배달 앱으로 커피를 주문한 어학원 직원 A씨가 주소를 잘못 입력해 추가 배달료 3000원을 청구받았다. 배달원이 두 번이나 배달해야 했기 때문이다.


아시아경제

지난 2일 온라인커뮤니티 웃긴대학 게시판에는 "너무 어이가 없고 화가 나서 여기에 글을 쓴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사진=웃긴대학 게시판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달원이 추가 배달료를 요청하자 현금이 없던 A씨는 계좌이체 하겠다며 "지금 바쁘니 아래 내려가서 기다려라"라고 답했다. 배달원은 1층 밖에서 5분 정도 기다렸다.


다른 주문을 받아 다급해진 배달원은 다시 학원으로 올라가 결제를 요청했고, A씨는 "바쁘니까 기다리라"면서 짜증 내며 돈을 지불했다.


A씨는 이후 배달업체에 전화를 걸어 배달원에 대한 조롱과 모욕을 쏟아냈다.


녹음에는 "본인들이 공부를 잘했으면 배달하겠냐" "본인들 세 건 해봤자 만원 벌지 않느냐" "나는 가만히 있으면 만원, 이만원, 3만원이 나온다" "기사들이 무슨 고생을 하냐. 오토바이 타고 놀면서, 문신하고 음악 들으면서 다니지 않느냐?" "돈 못 버니 그 일 하는 거 아니냐" "부모에게 그렇게 배웠냐" "회사에서 인정받고 돈 많이 벌면 그 짓 하겠나" 등의 발언이 담겼다.


배달업체 사장은 "말씀이 지나치다" "인권 비하 발언은 하지 마시라"면서 "얼마 버는지 알고 말씀하시는 거냐. 잘 버시는 분은 1000만원도 더 번다"고 하자 A씨는 "그렇게 고생해서 1000만원이요? 미안한데 내가 일주일에 버는 게 1000만인데"라며 조롱했다.


이어 A씨는 "거지 같다. 너희가 하는 꼴들이" "너희가 하는 꼬락서니들이 꼴사납다. 남한테 사기 쳐서 3000원 벌어가면 부자 되겠다" 등 막말을 이어갔다.


글에서 배달업체 사장은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어느 가정의 한 구성원으로서 저런 말까지 들어야 하느냐. 그렇게 우리가 실수한 건지 궁금하다"며 반문했다.


해당 글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확산하며 논란이 됐다. 네티즌들은 "신상 공개해야 한다" "녹음파일 듣는데 손 떨린다" "저런 사람이 학생들을 상대한다니" 등으로 반응하며 공분했다.


논란이 확산하자 해당 어학원의 본사인 청담러닝 측은 유감을 표현했다.


아시아경제

청담러닝 어학원 측 사과문. 사진=청담러닝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담러닝 측은 3일 "이 건은 April어학원 동작 캠퍼스에서 발생한 건으로 학원 강사가 아닌 셔틀 도우미로 확인됐다. 해당 직원은 동작캠퍼스에서 1개월정도 셔틀 도우미로 근무했고 2월 1일 마지막 근무 후 2일 퇴사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건이 발생한 2일 퇴사하면서 이와 같은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여 본사와 해당 가맹점 모두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안을 계기로 앞으로 본사는 가맹점과 함께 재발방지 및 보다 양질의 교육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더욱더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논란의 주인공인 강사가 하원도우미라는 어학원 측의 사과가 공개되자 네티즌들은 "급하게 꼬리자르기" "정말 학원강사인지 셔틀도우미인지 제대로 조사해봐야 한다" "녹음파일 들어봤는데 셔틀도우미 아닌 것 같다" "셔틀도우미가 만만하냐"며 학원 측의 해명을 의심하고 있다.



김봉주 기자 patriotb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