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동학개미들의 주식 열풍

10만원대로도 공모주 도전 가능, 설 이후 청약 일정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설 연휴 이후 씨이랩, 유일에너테크 등 청약 진행

AI 영상분석, 2차전지, AI 의료 등 인기 업종 줄줄이

균등 배정으로 소액만 있어도 가능, 2월 흥행 추이 살필 만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올해부터 개인 투자자들에게 배정되는 공모주 물량의 절반은 ‘균등 배정’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최소 청약 증거금의 단위가 낮아진만큼 적은 금액으로도 청약에 도전할 수 있게 된만큼 설 이후 진행되는 공모 일정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데일리

(자료=한국거래소)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설 연휴 이후인 오는 15일부터 총 5곳의 기업이 공모 청약에 나설 계획이다.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업체 씨이랩을 시작으로 유일에너테크(2차전지 장비), 오로스테크놀로지(반도체 장비). 뷰노(AI 의료) 등 최근 시장에서 성장주로 인식되는 인기 업종들에 대한 청약이 이어진다.

이달 역시 지난달에 이어 공모 시장이 활황을 보이는 모습이다. 지난 1월 총 10개의 기업이 공모 청약을 진행한 데에 이어 이달에도 6곳이 청약을 진행하며 열기를 띈 모습이다. 이달 중 상장이 예정된 기업 역시 스팩(SPAC)을 제외하고 총 4곳으로, 지난해 2월 3곳(위세아이텍(065370), 서남(294630), 레몬(294140))에 비해 1곳 늘어났다.

개인 투자자들은 올해부터 바뀐 ‘균등 배정’ 제도를 통해 참여 기회가 넓어졌다. 금융당국의 규정 변경에 따라 일반 청약 기회 확대를 위해 개인들에게 배정되는 물량의 50%를 균등 배분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 12월 이후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기업이라면 해당 규정이 적용돼 일정 물량은 균등 배정이 시행될 수 있다.

연휴 이후 첫 공모주 타자인 씨이랩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가공, AI 영상 분석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이다. 국방과학연구소와 KT(030200) 등 국내에서뿐만이 아니라 글로벌 1위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업인 미국 엔비디아에서도 씨이랩의 솔루션이 사용되며 역량을 인정받았다.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은 주관사인 IBK투자증권을 통해 오는 15~16일 전체 물량(65만주)의 20~25%인 13만~16만2500주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공모가가 희망 밴드(2만3000~3만1000원) 최상단을 뛰어넘은 3만5000원으로 결정돼 최소 청약주수(10주)를 신청할 수 있는 증거금 17만5000원만 있다면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 주관사가 여러 개일수록 균등 배정 물량이 차이날 수 있어 셈법이 복잡해지지만, 주관사 한 곳을 통해 진행하는만큼 경우의 수를 다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같은 기간 유일에너테크, 오로스테크놀로지도 청약을 실시하고, 16일부터 양일간은 뷰노가 청약에 들어간다. 유일에너테크는 2차전지 조립 중 노칭(절삭), 스태킹(적층)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오로스테크놀로지는 반도체 전공정에서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보정하는 ‘오정렬 측정장비’ 관련 기술력을 보유해 각각 2차전지와 반도체라는 첨단 산업 영역에서 성장 잠재력을 갖췄다. 뷰노는 AI를 통해 의료 정보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인허가, 유럽 제품인증(CE)등을 획득한 바 있는 기업이다.

또한 이달 마지막 청약을 실시하는 종목은 오는 25~26일로 예정돼있는 보안용 나노 소재 업체 나노씨엠에스가 될 예정이다. 나노씨엠에스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례 상장을 통해 코스닥 입성을 준비하고 있으며, 지폐나 여권 등에 사용되는 보안용 나노 소재에 특화된 만큼 독특한 사업 영역과 소재 기술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처럼 1월에 이어 이달 역시 신규 기업들의 상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상장기업 및 공모금액이 각각 7곳, 1421억원으로 약 10년 이래 최고 수준을 기록한 데에 이어 2월에도 흥행 추이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