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고(故)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문 대통령이 빈소를 직접 방문해 조문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그만큼 백 소장을 생각하는 마음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김종필 전 국무총리, 백선엽 장군, 이건희 삼성 회장이 세상을 떠났을 때는 빈소를 찾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빈소에서 조문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18분 백 소장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도착했다.
빈소에서 "술 한 잔 올리고 싶다"며 술잔을 올리고 절을 한 문 대통령은, 유족에게는 "아버님과 지난 세월 여러 번 뵈었고 대화도 꽤 나누었다. 집회 현장에 같이 있기도 했다"며 고인과의 추억을 떠올렸다. 또 백 소장에 대해 "이제 후배들에게 맡기고 훨훨 자유롭게 날아가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직접 빈소를 찾은 것은 2019년 1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고(故) 김복동 할머니를 조문한 이후 2년 만이다. 이때 문 대통령은 방명록에 '나비처럼 훨훨 날아가십시오'라고 적었다.
김 할머니 장례식 상주는 윤미향 당시 정의기억연대 대표(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였다. 윤 의원은 "(김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도 '끝까지 해달라', '재일조선인 학교 계속 도와달라'고 하셨다"고 전했고, 문 대통령은 "조금만 더 사셨으면 3·1절 100주년도 보시고, 북미정상회담이 열려서 평양도 다녀오실 수 있었을 텐데"라고 말했다. 그러자 윤 의원은 "(김 할머니가) '김정은 위원장이 빨리 와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했다.
2019년 1월 29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조문을 하고 있다. 왼쪽 첫 번째는 윤미향 당시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조선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대통령은 2018년 6월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별세했을 때는 조문하지 않고, 대신 김부겸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을 빈소에 보내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김의겸 당시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김 장관에게 '유족에게 예우를 갖춰 애도를 표하라'는 뜻을 전했다"며 "대통령 조문은 이것으로 갈음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백선엽 장군 빈소도 찾지 않았다. 당시 야당은 문 대통령이 백 장군 조문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노영민 당시 비서실장이 조문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 명의의 조화를 보냈다.
2018년 6월 25일 김부겸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이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종필 전 국무총리 빈소를 찾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10월 이건희 회장이 별세했을 때도 조문하지 않았다. 노영민 당시 비서실장을 통해 유족에게 "한국 재계의 상징이신 故 이건희 회장의 별세를 깊이 애도하며 유가족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2019년 6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별세했을 때는 빈소를 찾지 못했다. 북유럽 3개국 순방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귀국 직후 동교동 사저를 방문해 유족을 위로하고 "나라의 큰 어른을 잃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2018년 1월 밀양 화재참사 합동분향소를, 2019년 12월에는 소방헬기 추락사고로 순직한 소방항공대원 5명의 영결식에 참석했다.
지난해 7월 12일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서훈 안보실장, 김유근 안보실1차장, 김현종 안보실2차장과 함께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된 고 백선엽 장군 빈소를 방문해 조문하고 있다. /조선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손덕호 기자(hueyduck@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