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재임용 신청안해 28일 임기 종료
'주심 기피신청'으로 탄핵심판 절차 멈춤
이번주 중 기피신청 결론내고 재개할 듯
[서울=뉴시스]지난 2014년 당시 임성근 서울중앙지법 형사수석부장판사가 서울구치소에 방문한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1.02.05.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김재환 기자 = 임성근 부산고법 부장판사가 임기를 마치고 물러나 전직 법관의 신분으로 탄핵심판에 임한다. 헌법재판소는 이번주 임 부장판사 측이 낸 재판관 기피신청 인용 여부를 결론 내고, 중단된 탄핵심판 절차를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임 부장판사의 법관으로서의 임기는 이날까지다. 오는 3월1일부터는 전직 법관의 신분이 된다.
임 부장판사는 지난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재임용 신청을 하지 않았다. 법관은 10년마다 재임용 신청을 받아 심사를 통과해야 연임할 수 있다.
임기 만료로 물러남에 따라 임 부장판사는 앞으로 전직 법관의 신분이 돼 탄핵심판을 받게 된다.
또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소속 변호사들의 체포치상 사건에서 판결문의 양형 이유를 수정하도록 지시하는 등의 혐의도 탄핵소추 사유 중 하나다.
헌법재판소법 24조 3항은 사건 당사자가 공정한 심판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재판관에 관해 기피신청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임 부장판사 측은 이 재판관이 지난 2015년 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민변 회장을 지냈다는 점에서 공정한 심판을 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탄핵소추 사유 대부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기피신청이 접수됨에 따라 탄핵심판 절차도 중단됐다. 헌재는 기피신청이 접수된 이후 평의를 열고 논의를 시작했으며, 지난 26일 예정된 변론준비절차기일을 잠정 연기했다.
임 부장판사로서는 탄핵소추 사유를 반박하는 한편, 전직 법관인 본인에게 파면 결정을 내리는 것은 실익이 없다는 취지로 향후 심판에 대응할 것으로 관측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erleader@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