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법무부 "검사는 공소관 역할 집중…수사·기소 궁극적 분리 바람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법무부, 윤한홍 의원실에 김용민 공소청안 검토 의견서 제출

뉴스1

박범계 법무부장관이 3일 오전 경기 정부과천청사 법무부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1.3.3/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은지 기자,유경선 기자 = 여권이 추진 중인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설치에 윤석열 검찰총장이 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표명한 가운데, 법무부가 "앞으로 검사는 공소관 역할에 집중하게 될 것"이란 내용의 의견서를 국회에 전달했다.

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검찰청법 폐지 및 공소청 설치 법안에 대한 검토 의견서에 따르면, 법무부는 "기본적으로 검찰의 수사와 기소 권능은 궁극적으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검사의 신분 보장에 대해 "수사권 개혁 법령의 시행에 따라 검사는 '공소관'과 '인권옹호관'으로서의 역할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공소관은 황운하 민주당 의원이 지난 2월9일 중수청 제정안을 발의하면서 '검사' 대신 쓴 표현이다.

법무부는 "다만 관련 논의 과정에서 국가의 범죄대응 역량이 위축되지 않고 시행착오를 피하면서 안정감 있게 개혁이 추진되는 것도 중요하다"며 검토 의견에 '신중 검토'로 적었다. 이어 "국회에서 제시해 준 좋은 개혁 방안들에 대해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바른 검찰개혁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법사위 소속 김용민 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공소청 신설 법안 및 검찰청법 폐지 법안은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기 위해 현행 검찰청을 폐지하고, 공소청을 신설하는 내용이다. 검사 업무에서 수사 업무를 제외하고 기소와 공소 유지권만 갖는 것으로, 윤 총장은 이에 대해 "검찰총장 밑에서 검사를 다 빼도 좋다. 그러나 부패범죄에 대한 역량은 수사·기소를 융합해 지켜내야 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seeit@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