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정세균 “尹 소영웅주의”… 주호영 “尹 말 않으면 직무유기”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권 대선 주자들 앞다퉈 비판

이재명 “대통령 기준에 따라야”

당지도부선 ‘무대응 전략’ 일관

세계일보

정세균 국무총리(왼쪽부터), 윤석열 검찰총장,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권의 대권 주자들은 3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추진을 전날에 이어 이날도 공개 비판한 윤석열 검찰총장을 앞다퉈 비판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제각각 “대단히 부적절한 정치행위(이광재 의원)”라며 비난을 쏟아냈다. 다만 여당 지도부는 ‘추·윤 갈등’을 반면교사 삼으며 이틀째 침묵을 이어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윤 총장은 자중해야 한다”라고 경고했다. 정 총리는 윤 총장의 행위를 “검찰만이 대한민국 정의를 수호할 수 있다는 아집과 소영웅주의”라고 규정하며 “국민을 선동하는 윤 총장의 발언과 행태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윤 총장을 향해 “자신의 소신을 밝히려면 직을 내려놓고 당당하게 처신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대권주자 선호도 1위인 이재명 경기지사도 가세했다. 이 지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경기 지역 의원들과의 정책협의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이 윤 총장은 ‘문재인정부의 검찰총장’이라고 말씀하셨다”며 “임명직 공무원으로 문 대통령의 말씀에 들어 있는 기준에 따라 행동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친문(친문재인)’ 진영 대표주자인 이광재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윤 총장의 언론 인터뷰에 대해 “대단히 부적절한 정치행위”라며 “퇴임 후 현실 정치에 참여하려는 수순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반면 당 지도부는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전날과 마찬가지로 당 차원의 공개 대응을 삼갔다. 이낙연 대표는 최고위가 끝난 뒤 기자들의 관련 질문에 “그분(윤 총장) 말씀을 충분히 알고 있지 못하다”며 “검찰개혁 관련 의견이라면 법무부를 통해서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세계일보

이낙연 최고위회의 참석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왼쪽)와 김태년 원내대표(왼쪽 둘째)가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서상배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의 이 같은 무대응 전략에는 윤 총장과 공개적인 갈등이 그의 정치적 위상만 높여줄 뿐 아니라 한 달여 남은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윤 총장이) 정부와 여당을 향해 ‘나를 존재감 있게 만들어달라’고 표현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평가했다. 당 차원 대응 가능성에는 “상황을 봐야겠다”며 말을 아꼈다. 한 중진 의원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시절에도 당이 이렇게 (무대응)했어야 됐다”고 했다.

세계일보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3일 경기 정부과천청사 법무부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 역시 전임자인 추 전 장관과 달리 우회적인 문제 제기 선에서 발언 수위를 조절했다. 박 장관은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한테 “(윤 총장이) 직접 만나서 얘기를 나누면 좋을 텐데 이렇게 언론을 통해 대화하니 조금 안타까운 측면도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는 “(검찰총장이) 작심하고 말하지 않으면 오히려 직무유기”라고 윤 총장을 옹호했다. 윤 총장에게 직을 내려놓을 것을 요구한 정 총리에 대해서는 “옹졸하기 짝이 없다”고 했다.

배민영·김선영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