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의 홍수위험지도 예시./제공 = 환경부 |
아시아투데이 손차민 기자(세종) = 환경부는 5일부터 전국 하천 주변의 침수위험지역을 표시한 ‘홍수위험지도’를 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에 공개한다고 4일 밝혔다.
이 홍수위험지도에는 2892㎞에 해당하는 전국 국가하천과 1만8795㎞의 한강·낙동강·금강권역 지방하천 구간을 담았다.
홍수위험지도는 홍수시나리오별 하천 주변의 침수위험 범위와 깊이를 나타내며 침수 깊이는 0.5~5m까지의 5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지자체는 홍수위험지도를 토대로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홍수 시 대피경로를 담은 재해지도를 제작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비하고 있다.
아울러 환경부는 홍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풍수해 대응 혁신 종합대책도 추진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홍수량을 홍수방어시설 설계 등에 반영하도록 법과 설계기준을 정비한다.
다목적댐 재평가를 통한 홍수조절용량 확대, 댐 하류 주민의 대비를 위한 댐 수문 방류예고제 도입 등으로 댐 운영체계도 개선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홍수위험지도를 통해 홍수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홍수대책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