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차기 검찰총장은? 설마 이성윤이 되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성윤 거론...외부수혈론도

조선일보

2020년 1월 13일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열린 취임식에 입장하고 있다./김지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4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차기 총장직에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은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희대 후배인 이 지검장은 정권을 겨냥한 수사는 뭉개고 정권이 원하는 수사는 무리하게 밀어붙였다는 평가를 받아 대표적 ‘친(親) 정권 검사'로 불린다.

정치권과 법조계에선 “여권 입장에선 정권 비리가 터져나오는 대통령 임기 말에 검찰을 맡을 적임자가 이 지검장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이 지검장이 검찰총장이 된다해도 검찰 조직을 통솔할 수 없을 것이란 지적도 많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합세해 정권 수사를 벌이던 윤석열 검찰총장을 고립시키고, 이른바 ‘윤석열 사단'으로 불리던 윤 총장 측근들은 수사 라인밖으로 대거 축출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 그의 ‘친정부 이력'으로 인해 이미 검찰을 이끌 권위를 상실했다는 것이다. 검찰 주변에선 “이미 서울중앙지검에서도 이 지검장의 영은 먹히지 않는다. 이런 사람이 검찰 전체를 끌고 갈 수 있을지 의문”이란 말이 나온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외부 수혈론’도 제기된다.

이 지검장은 문재인 정부 들어 대검 형사부장, 반부패·강력부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 핵심 요직을 잇따라 맡았다. 지난해 1월 서울중앙지검장이 임명된 뒤론 두 차례 유임됐다. 윤 총장이 그의 교체를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을만큼 정권의 신뢰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검찰 관계자는 “총장 직무대행인 조남관 대검 차장은 지난해 윤 총장 징계 국면에서 윤 총장 편에 서 정권 눈 밖에 났다”며 “믿고 직을 맡길 사람이 이 지검장이라고 보는 것 같다”고 했다.

문제는 약한 조직 장악력이다. 윤 총장 징계 국면에서 차장 검사들이 이 지검장에게 단체로 몰려가 사퇴를 건의하는 등 서울중앙지검에선 전례 없는 일들이 이어지고 있다. 채널A사건 수사팀은 이 지검장이 한동훈 검사장에 대한 무혐의 결정을 미루자 지검장을 찾아가 항의하고 사전 동의 없이 전자 결재를 올리기도 했다. 한 여권 관계자는 “김학의 사건과 관련해 피의자로 입건까지 되면서 윤 총장 사퇴 이후 더 거세질 수 있는 검찰 내 반발을 컨트롤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심재철 남부지검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 내에선 심재철 서울남부지검장이 차기 검찰총장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이 지검장과 함께 검찰 내 대표 ‘친정권 검사'로 꼽히는 심 지검장 역시 검찰 내 신망을 잃어 검찰 조직을 장악하기 힘들 것이란 지적이다. 심 지검장은 작년 윤 총장 징계 국면에서 윤 총장의 핵심 징계 사유를 법무부에 제보하고, 윤 총장의 징계 수위를 결정할 법무부 검사징계위의 위원으로도 참여하는 등 ‘윤석열 찍어내기' 1인 5역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심 지검장의 연수원 기수(27기)는 윤 총장(23기)에 비해 4기수 밑이라, 그를 검찰총장에 임명할 경우 선배 기수인 이 지검장(23기)마저 사퇴할 가능성이 높아 인사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점도 여권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차기 총장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검찰청법 27조는 ‘검찰총장은 15년 이상 법조인 경력이 있는 사람 중에서 임명한다’고 규정한다. 그러나 마땅한 후보군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력을 충족하면서 개혁 성향을 갖고 있고 검찰 업무에도 정통한 인사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민변 출신 등 정권이 선호하는 법조계 인사들의 가용풀(pool)이 상당 수 소모된 상황”이라고 했다.

[김아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