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人사이트]김병관 국회의장디지털혁신자문관 "데이터 구조화 작업으로 국회 정보 쉽게 활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의 수많은 정보는 대부분 PDF 형태로 보관돼 있습니다. 때문에 특정 사안에 대해서 그 배경과 경과 등을 검색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데이터 구조화 작업을 통해 국회에서 생산되는 정보들을 보다 쉽게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전자신문

김병관 국회의장디지털혁신자문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병관 국회의장 디지털혁신자문관이 올해부터 국회 데이터 구조화 작업을 시작한다. 국회가 보유하고 있는 법안, 회의록, 보고서 등 수많은 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하고 검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지능형 의안정보, 지능형 회의록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김 자문관은 지난해 8월 박병석 국회의장 요청으로 디지털혁신자문관을 맡게 됐다. 국회 디지털 전환사업을 총괄하는 정보화추진위원회에서 부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회에서도 비대면, 영상회의, 입법 전산화 등 이슈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 디지털 국회 구축을 위한 주요 사업계획과 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과거 청년 시절을 국내 게임시장 부흥기와 함께 했다면 이제는 국회 디지털 전환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앞장서는 셈이다.

김 자문관이 디지털 국회 관련 가장 관심을 두는 부분은 활용성 높은 데이터 생산이다. 그는 “국회 정보를 여러 기관에서 사용하고, 나아가 입법 관련 민간 서비스와 AI로까지 범위를 넓혀가려면 기본적으로 검색이 돼야 한다”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 재구조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회 데이터 구조화는 국회의원들 입법 활동에도 도움이 된다. 의원들이 법안을 발의할 때 과거 유사 법안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쉽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보다 탄탄한 법안을 마련할 수 있다. 김 의원은 “논의조차 안 되고 폐기되는 법안, 회의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는 요약 보고서들은 현재 상황에선 알 수 없다. 이런 것들도 한 곳에서 검색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행히 국회 내부적으로도 디지털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 지난 20대 국회 패스트트랙 소동 당시 처음으로 활용됐던 전자입법이 21대 국회 들어 코로나19 사태와 함께 사용 빈도가 늘고 있다. 종이와 PDF 스캔으로 법안을 제출하던 아날로그 문화가 조금씩 디지털에 맞춰지는 상황이다.

김 자문관은 “상당수 의원이 디지털 포맷에 맞춰 법안을 발의하면서 관련 정보를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금까지의 국회 정보는 별도 데이터 구조화 작업이 필요하지만 앞으로는 자동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는 시대가 올 수 있다는 전망이다.

클라우드 기반 통합시스템도 구상 중이다.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등 5개 기관으로 나눠져 있는 플랫폼과 정보들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으로 분산된 의원 정보 및 의정활동 내용도 포함이다. 최종으로는 완전한 비대면 입법 활동 등 재택근무도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김 자문관은 “국회에서는 입법 이외에도 정부 업무보고, 세미나, 토론회 등 수많은 정보가 생산된다”면서 “이런 정보들과 각 기관 플랫폼이 통합된다면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