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최정우 회장 재평가하자" 대놓고 포스코 흔든 노웅래의 집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민단체와 노동계가 뽑은 최악의 살인기업 포스코" (11일, 당 최고위원회의)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 재해사고 21배 폭증" (22일, 보도자료)



"(최정우 회장에게) 지난 10월에 도쿄에서 신사참배 한 게 맞지 않냐"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업재해 청문회)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노웅래 의원(4선)이 지난달 포스코 최정우 회장을 향해 쏟아낸 말이다. 지난 3일 국회 본관에선 노 의원 등 주최로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 토론회가 열렸다. 발표는 김호규 전국금속노조 위원장, 김찬목 포스코지회장 등 노조 측과 시민단체가 맡았다.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지난 4일 최 회장을 대구지검 포항지청에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고발한 당사자다.

노 의원은 이 자리에서 “안전을 지키지 않는 악덕 기업과 경영진에 대해서 확실한 철퇴를 가해서라도 포스코의 연쇄살인을 끊어내야 한다”면서 “최정우 회장 3년에 대해 평가를 하자”고 말했다.

중앙일보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 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 의원의 포스코 비판은 산재를 매개로 했지만 최 회장 개인을 집중 겨냥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최 회장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청문회(지난달 23일)를 앞두고 불출석 사유서를 내자, 노 의원은 지난달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포스코 최정우에게서 한보 정태수의 악취가 난다〉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노 의원의 ‘반(反) 최정우’ 공세엔 이따금 지도부의 다른 인사들도 동참했다. 지난달 15일엔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포스코는 최고경영자(최 회장)가 책임지고 산업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포스코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은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자의 투자 기업에 대한 경영 참여)를 실행해 포스코가 사회적 책임 다하도록 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업계 "이렇게 대놓고 개입은 처음"



노 의원 등의 공세는 최 회장 연임 여부가 결정되는 주주총회(3월 12일)가 다가오면서 더욱 거세지고 있다. 최 회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8년 7월 선출됐다. 지난해 12월 포스코 이사회 CEO 후보추천위원회는 최 회장을 차기 회장 단수 후보로 추천해 연임이 유력한 상황이다.

중앙일보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지난달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 의원이 대놓고 최 회장 연임 반대를 주장하자 정치권에선 “노 의원 측이 밀고 있는 다른 후보가 있다”는 말이 나온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한 야당 의원은 “민간 글로벌 기업에 여당 지도부 의원이 쳐들어가 갑질을 하고 있다”며 “여당 최고위원이 최 회장 반대파의 논리를 그대로 따르고 이 대표 등 지도부까지 가세하는 거로 봐선 정권 차원의 교체 움직임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업계도 당혹스러워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정치권의 포스코 흔들기는 항상 있었지만 이렇게 대놓고 하는 건 처음 봤다”면서 “박근혜 정부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승계 과정에 개입한 게 떠오른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서 할 일을 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노 의원은 4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최 회장 임기 3년 동안 산재 사고는 늘었고, 지난해 노동자 임금은 동결하면서 경영진은 거액의 상여금을 받아갔다”면서 “최고 경영자가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그러곤 “정치적인 이유가 있어서 최 회장을 쫓아내고 우리 쪽 사람을 넣는다는 의혹은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일각에서 감정싸움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노 의원이 포스코에서 발생한 추락 사고를 조사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했을 때 사측 노조원들이 가로막은 게 화근이 된 게 아니냐”고 말했다. “이날 노 의원을 지지하는 노조와 사측 노조가 대치하면서 몸싸움까지 벌어진 끝에 결국 진입을 못 했다”는 것이다.



8명 모두 중도 하차…반복되는 포스코 CEO 수난사



중앙일보

2020년 6월 13일 오후 12시 30분쯤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2열연공장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검은 연기가 공장 주변을 뒤덮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집권 세력의 화를 입은 포스코 회장의 수난사는 유구하다. 초대 박태준 전 회장부터 직전 권오준 전 회장까지 모두 임기 중간에 물러났다. 박 전 회장은 1992년 10월 김영삼 당시 대통령 당선인과 불화로 회장직을 내려놓았다는 게 업계 정설이다. 당시 정부는 포스코에 세무 조사와 검찰 수사를 진행했다. 그 뒤에 임명된 황경로, 정명식 전 회장은 재임 기간이 각각 6개월과 1년에 그쳤다. 김영삼 정부의 마지막 회장이었던 김만제 전 회장은 1998년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자 곧바로 자리에서 내려왔다.

2000년 민영화 이후에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는 바람을 피한 포스코 회장은 찾아보기 어렵다. 김대중 정부에 선임된 유상부 전 회장은 노무현 정부 출범 후 '최규선 게이트'에 연루돼 유죄 판결을 받고 중도 하차했다. 노무현 정부 때 회장이 된 이구택 전 회장도 이명박 정부 출범 1년 뒤 세무조사 무마를 청탁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사임했다. 취임 때부터 이명박 전 대통령 일가와의 관계가 주목 받았던 정준양 전 회장은 박근혜 정부 들어 11개월에 걸친 검찰 수사를 받아 기소되는 과정에서 물러났다. 문재인 정부 출범 뒤 권오준 전 회장은 경제사절단 명단에서 빠졌고 결국 자진 사퇴했다.

포스코가 권력의 외풍에 쉽게 흔들리는 근본 원인은 지분 구조에 있다는 해석이 많다. 포스코의 최대 주주는 지분 약 11%를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이다. 이 외에 약 60%가 소액주주여서 결국 정부·여당의 목소리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여건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세무 조사나 검찰 수사를 받기보단 정치권 압력이 들어오면 회장이 물러나는 게 최선이라는 역사가 조직 내에 학습돼 있다”는 말이 나온다.

송승환 기자 song.seunghwa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