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원희룡, 가짜뉴스라는 '현 공항 확장사용'…"결론 안 난 쟁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 입지 타당성 재조사 검토위원장 "지사 신분 할 말 아냐"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도민 여론조사 결과와 달리 제2공항 추진 입장을 밝힌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이번엔 반대단체 주장이 가짜 뉴스라고 주장해 갈등의 불을 재차 댕겼다.

연합뉴스

제주공항 소음 확인하는 수산1리 주민들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11일 제주시 용담동 제주국제공항 인근에서 제2공항 예정지인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1리 주민들이 비행기 이착륙 소음이 어느 정도인지 직접 확인하고 있다. 수산1리 마을회는 이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어 주민 의견 수렴도 없이 제2공항 부지를 결정했다며 공한 건설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2015.12.11 atoz@yna.co.kr



원 지사는 14일 페이스북에 "반대단체들의 현 공항 확장 사용 주장은 가짜 뉴스"라며 "공항계획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문가들과 정부가 모든 검토를 다 거쳐 안 된다고 결론 낸 것을, 그게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원점 검토하라는 주장이 과연 합리성이 있다고 할 수 있냐"고 주장했다.

현 공항 확장 사용 이란 기존 제주공항을 최대한 확장하면 제2공항을 건설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2공항저지도민회의)는 지난해 제2공항 관련 갈등 해소 토론회에서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제주공항 체계'(Jeju Airport System)를 들어 이 같은 내용을 주장했다.

2공항저지도민회의는 ADPi가 제시한 권고안 중 주기장 확대, 독립 평행 항로 신설, 항공기 운항 분리 간격 축소 등과 관제 운용의 첨단화로 제주공항에 있는 남-북 활주로 교차 운영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2공항저지도민회의는 별도의 대규모 공항 신설 없이 제주공항의 단기 확충 사업 등의 충분한 활용만으로 시간당 60회 운항과 장래 수요(4천560만명)를 처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토론회에서 국토부 관계자와 2공항저지도민회의가 이런 주제에 대해 공개 토론회를 했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은 쟁점으로 남아 있다.

원희룡 지사 본인도 2019년 제2공항 방송 토론회에 나와 박찬식 2공항저지도민회의 상황실장과 토론을 벌었다.

당시 원 지사는 " 이론상으로는 기존 공항을 활용하기가 쉬울지 모르지만, 제주공항에서는 (현재의)이착륙 횟수를 갖고도 충돌사고가 일어날 뻔했다. 실제로 작동해보니까 가능하지도 않아서 (채택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원 지사는 또 " 안전을 책임진 국토부에서 공항 포화 용역, 재검토 용역 등을 하며 기존 공항 확장이 실현할 수 있지 않다고 결론을 낸 것이고 그 하부 용역인 ADPi의 주장을 근거로 하는 것은 지나친 주장"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여러 차례 공개 토론회를 거치고 다수의 의견을 묻는 과정까지 한 시점에서 도지사가 토론 당시 쟁점으로 남은 사항을 다시 들어 일방적으로 주장한 것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검토위원회 위원장으로 참여한 강영진 한국갈등해결센터 공동대표는 "도민 앞에서 국토부 관계자와 전문가, 반대단체들이 이 주제를 놓고 토론했지만, 결론이 안 나왔고 이어 여론조사를 진행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강 공동대표는 이어 "한 개인은 자신의 주장을 얼마든지 할 수 있겠지만, 자연인 '원희룡'이 아닌 도지사 신분으로 공개적으로 할 말이 아니다. 공인의 자격이 없다. 어떤 위치에 있든지 역할에 맞게 발언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비판했다.

kos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