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신흥국 금리 인상 도미노…인플레 불안에 ‘울며 겨자 먹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충격 여전·부채 눈덩이인데
브라질·러시아·터키 줄줄이 금리 인상
물가 급등·자본 유출 막으려 고육지책
터키 대통령, 중앙은행 총재 전격 해임하기도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흥국들의 기준금리 인상 조치가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브라질·터키·러시아 중앙은행은 최근 잇달아 금리 인상 조치를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경제를 계속 압박하고 있지만, 공급난 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장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감소하면서 물가를 내리는 효과가 있다.

첫 스타트를 끊은 것은 브라질이었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17일 기준금리를 기존 2.00%에서 2.75%로 끌어올리면서, 2015년 7월 이후 거의 6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시장에서는 애초 0.5%포인트 인상을 점쳤지만, 실제 단행된 인상 폭은 이보다 더 컸다.

특히 이번 조치는 브라질 중앙은행이 최근 수년 동안 금리 인하와 동결 조처만 취해왔었다는 점에서 더 눈길을 끌었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2016년 10월부터 통화 완화 정책을 이어오고 있지만, 최근 들어 물가상승 압박이 가중되면서 이러한 기조에 변화를 주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실제로 브라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4.52%로 4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졌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20% 상승해 1월의 4.56%에서 오른 것은 물론 2017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물가상승률이 7%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제기됐다.

터키 중앙은행도 18일 기준금리를 17%에서 19%로 2%포인트 인상했다. 이 과정에서 금리 인상을 주도한 나지 아발 중앙은행 총재가 취임 4개월 만에 전격 경질되기도 했다. 저금리 정책을 선호하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예전부터 금리를 내리면 물가상승이 억제된다는 독특한 주장을 내세워 왔다. 새 중앙은행 총재로는 집권 여당 정의개발당(AKP)의 샤합 카브즈오을루 전 의원이 임명됐다.

다음 날인 19일에는 러시아 중앙은행이 소비자 물가 상승 속도 완화와 루블화 가치 회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끌어올린다고 발표했다. 러시아가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지난 2018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러시아 역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에 달해 중앙은행 목표치(연 4%)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들 신흥국의 금리 인상 조처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나이지리아, 아르헨티나,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머잖아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와 아르헨티나는 이르면 올해 2분기에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인도와 남아공 등도 내년 1분기 이전에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점쳐진다.

문제는 이들 나라가 아직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신흥국 실물경제는 코로나19 여파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으며, 부채도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부채 상환 부담이 가중된다. 원래대로라면 경기 회복을 위해 추가 부양에 나서는 게 맞다.

하지만 물가가 걷잡을 수 없이 치솟고 있는 데다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으로 신흥국들에서 자본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이들 신흥국이 잇달아 ‘금리 인상’이라는 고육지책을 쓸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윌리엄 잭슨 신흥시장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은 대규모 외부 자금조달이 필요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들이 긴축을 강요당하는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자국 통화 표시 채권 금리가 미국과 동반 상승하면 남아공과 브라질처럼 부채가 많은 국가가 우려스러운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경종을 울렸다.

[이투데이/변효선 기자(hsbyu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