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엑스포츠뉴스 조혜진 기자] '조선구마사'에선 조선시대 기생집에서 중국 음식이 차려진 술상을 제공하고, 환시에 시달리던 태종은 무고한 백성을 해친다. '판타지'를 앞세워 고증 따위는 내다 버렸지만, 굳이 굳이 실존 인물을 고집했다. 역사 왜곡의 빌미를 제공한 드라마에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는 상황. 시작과 동시에 역대급 위기를 맞은 '조선구마사'가 마지막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조차도 의문이다.
지난 22일 첫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는 방송 시작과 동시에 '역대급'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방송사 측은 제작사와 논의를 거쳐 최대한 불편한 '부분'을 해소할 타개책을 모색 중이다. 쏟아지는 조기 종영 요구에 국민적 반감까지 사고 있는 '조선구마사'는 이제 막 2회 방송을 마친 상황. 역대급 고증 실패로 이름을 알린 '조선구마사'가 과연 '부분' 해소로 국민적 공분을 잠재울 수 있을까.
논란이 된 방송에서는 조선시대 기생집에 중국풍 소품과 함께 중국 간식 중 하나인 월병, 중국 음식 피단이 등장했다. 뿐만 아니라 국무당의 도무녀 무화(정혜성 분)가 입고 등장하는 의복도 중국풍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또한 배경 음악에도 중국 전통 현악기인 고쟁으로 연주한 곡이 삽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선구마사'의 박계옥 작가는 전작인 tvN '철인왕후'에서도 실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실존 인물들을 끌어왔다. 당시 '철인왕후' 역시 '퓨전 사극'이라는 명목 하에 허구를 무기로 실제 역사를 희화화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이번 '조선구마사'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상상력을 발휘하는 데 실존 인물을 데려와 역사왜곡 빌미 제공의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해당 사과도 화를 키웠다. 중국이 한복과 김치 등을 자신의 문화라고 주장하는 '新 동북공정'을 펼치고 있는 "예민한 시기"임을 인지했음에도, 특별한 의도 없이 방송을 내보낸 것에 시청자들은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나아가 시청자들은 '조선구마사' 방송 중지, 종영을 요구하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역사왜곡 동북공정 드라마 조선구마사의 방영 중지를 요청합니다'라는 청원글이 등장했으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도 드라마와 관련된 시청자 민원이 폭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청자들의 거센 항의에 '조선구마사'에 협찬, 광고를 편성한 업체들도 줄줄이 철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jinhyejo@xportsnews.com / 사진=SBS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