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일문일답]장경호 코스닥협회장 "기관 투자 위한 지수개발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오와 2차 전지, 플랫폼 등 업종 다변화 긍정적"

"상장 이후 지속적인 성장, 안착 위한 노력 필수"

연기금 등 기관 투자 유치 필수…새로운 지수 개발 등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장경호 코스닥협회 신임 회장이 지난 7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올해 협회의 캐치프레이즈인 ‘새로운 미래의 든든한 동반자, 경제성장의 엔진, 코스닥’에 맞는 혁신 성장을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데일리

장경호 코스닥협회 회장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는 이어지고 있지만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바이오와 2차 전지 등 혁신 산업 위주로 재편된데다가, 지난 12일에는 지수 역시 IT버블 이후 20여년만에 ‘1000선 돌파’에 성공하는 등 혁신 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하다는 평가다. 장 회장은 “혁신 기업을 상장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시장에 자리잡아 성장하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를 위한 문화가 필수적”이라면서도 “‘모험 자본 시장’이라는 본연의 성격을 살리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장경호 회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코스닥협회장에 취임한 소감, 앞으로의 포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 속 회장직을 맡게 되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지만, ‘새로운 미래의 든든한 동반자, 경제성장의 엔진, 코스닥’이라는 비전 하에 코스닥기업의 지속성장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들의 경영환경 개선, 혁신 성장 등을 촉진하고, 투자 정보를 활성화는 등 투자 인프라를 개선해나가고자 한다.

- 올해 비전인 ‘새로운 미래의 든든한 동반자, 경제성장의 엔진, 코스닥’에 담긴 의미는?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뿐만이 아니라 IT, 인공지능, 신재생 에너지 등 새로운 산업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종목들이 눈에 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스닥 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 ‘뉴 노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제의 한 축으로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담았다.

- 현재 코스닥 기업들이 처해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코스닥 기업의 약 97%는 중소·중견기업이다. 그럼에도 현행 상법 등에서는 코스피 기업과 코스닥 기업을 똑같은 ‘상장회사’로 취급, 일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어서 부담이 크다. 특히 신외감법 등은 현실적으로 부담이 되는만큼 보완이 필수적이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 혜택 확대 등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자 한다.

- 기업들의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방안을 갖고 있나?

△기술특례상장 제도 등을 통해 코스닥 시장의 면모는 바이오를 포함, 플랫폼이나 게임, 2차 전지 등 다양화에 성공했다. 중요한 것은 이들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하고, 실질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도록 ‘동반 성장’하는 것이다. 다만 현재 코스닥 시장에만 존재하는 관리종목 지정사유, 상장폐지사유,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제도 등 상장 유지에 대한 부담이 큰 상황이다. 이에 코스닥 시장에만 있는 공시 항목과 규제 등을 폐지, 상장 유지에 필요한 재무 요건을 최소화해 코스피 시장과의 규제 차이를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취임사를 통해 코스닥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도 강조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은?

△ESG 경영에 대한 요구는 커지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라는 코스닥 시장의 특성상 기업 내부에서 이에 대응하기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다만 기업이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라는 인식에는 공감하고 있다. 협회 차원에서 코스닥 기업들의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해마다 운영하는 ‘대한민국 코스닥 대상’ 시상식에 ESG 평가지표를 마련하는 등 우수 사례를 확산시키고자 한다. ESG 경영이 곧 기업 가치에 연결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에서 시작, 추후에는 연구 용역 등을 통해 정책으로서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치고자 한다.

- 코스닥 시장에 지속적으로 혁신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해 보인다.

△코스닥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비상장 우량기업의 유치가 가장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세액공제, 연구개발(R&D) 비용 지원 등 다양한 세제상의 혜택이 필요하다. 또한 상장의 통로 자체를 다변화하고, 상장 이후에도 발목을 잡는 과도한 규제를 해소하는 등 국내 상장을 기피하는 문제점을 풀어나가야 한다.

- 코스닥 시장에서 ‘장기 투자’를 이끌어내고, 이를 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코스닥 시장의 롤 모델은 결국 ‘미국 나스닥’ 시장이다. 모험 자본에 투자하고, 미래 성장을 바라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 문화가 필수적이고, 이를 이끌기 위해서는 연기금 등의 참여도 요구된다. 연기금 운용 방침에 코스닥 투자에 대한 의무 비중을 설정하고, 코스닥150 외에도 다양한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통한 금융투자상품 확대 등 실질적인 연기금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장기 투자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정책이 유효하다고 본다.

- 최근 기업 공개(IPO) 시장에서 ‘공모주 열풍’ 이 불고 있지만, 인기 있는 소수 종목들에만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우수 기업들의 자금 조달과 투자 유치 등을 위해 협회 차원에서는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을까?

△공모가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기관 투자자들을 비롯해 시장의 판단이다. 공모가가 낮게 형성되더라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시장에서 적정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상장 이후’를 책임지는 역할도 필요하다. 코스닥에 상장하는 목적은 단순히 공모 자금 유치뿐만이 아니라 상장사로서의 지위 확보, 이를 활용한 인재 유치와 시장을 통한 자금 조달 등 다양한만큼 협회 차원에서는 시장 자체의 활성화, 상장 시의 혜택 부여 등을 통해 상장 이후 시장 안착까지에 무게중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코스닥 기업들에 대한 분석 보고서 부족, 정보 부족 등은 지속적인 문제로 제기돼왔다.

△상장 기업들의 IR 활동 등에 대해서는 협회 차원에서도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스몰캡 담당 애널리스트들의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지만, 협회 주관으로 상장사들의 IR 활동이 가능한 장을 열어주고, 미팅 등을 주선하는 등 접점을 늘려가고자 한다. 한 해에 구체적으로 ‘지난해에 비해 보고서 몇 건을 더 발간하겠다’는 식으로 목표를 정해 놓고 꾸준히 소통해나가고자 한다.

- 오는 5월부터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 대형주들을 위주로 공매도가 재개된다. 이에 대한 생각은?

△공매도는 유동성 공급, 헤지 수단 등으로도 활용되지만 개인 투자자, 중소기업 위주의 코스닥 시장에는 피해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공매도 등에 대처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기업들의 현실적인 사정을 고려해 적절한 보완장치가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