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전월세신고제 6월부터 시행..보증금 6000만원 초과 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오는 6월부터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시 및 도(道)의 시(市) 지역에서 전세 보증금 6000만원을 초과하는 임대차 계약을 맺으면 30일 내에 지자체에 신고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6월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를 시행하기 위해 신고대상, 신고내용, 절차 등 세부 사항을 정하기 위한 '부동산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당정은 전월세신고제와 '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상한제' 등으로 구성된 임대차 3법 법안을 통과시켰다.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는 작년 7월 법개정과 함께 바로 시행됐다.

임대차 3법 중 시행을 앞두고 있는 전월세신고제는 임대차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 임대료 등의 계약내용을 신고하도록 하는 제도다. 임대차 시장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신고 대상은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적용받는 모든 주택이다. 고시원 등 비주택도 신고 대상에 포함된다. 신고지역은 서울,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전역과 광역시, 세종시 및 도의 시 지역으로 규정했다.

임대차 보증금 6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월세가 30만원을 초과하는 임대차 계약은 모두 신고해야 한다. 반전세의 경우 보증금이나 월세 중 하나라도 이 기준에 해당하면 신고 대상이다. 갱신계약 시에도 종전 임대료와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 등을 신고해야 한다.

임대인과 임차인의 공동 신고가 원칙이지만, 한쪽이 신고할 수도 신고할 수도 있다.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나 온라인으로도 신고 가능하다.

임대차 계약을 미신고하거나 거짓 신고하는 경우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다만, 국토부는 신규 제도 도입에 따른 일반 국민들의 적응기간 등을 감안해 시행일로부터 1년(2021년 6월1일~2022년5월31일) 동안은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 계도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