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반군부 진영, 임시정부 명단 발표 임박…내전 우려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양곤=AP/뉴시스]15일 미얀마 양곤에서 마스크를 쓴 반 쿠데타 시위대가 띤잔 축제 전통 음식인 '몽롱예보'(Mont lone yay baw)에 세 손가락 경례가 그려진 작은 깃발을 꽂아 들고 시위하고 있다. 시위대는 미얀마 전통 축제를 즐기는 대신 군부에 저항하는 '혁명적 띤잔'을 촉구하고 있다. 2021.04.1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미얀마 반(反)군부 진영인 연방의회 대표자회의(CRPH)가 16일 임시정부 국무위원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미얀마 나우가 익명을 요구한 CRPH 위원을 인용해 보도했다. 임시정부는 CRPH와 소수민족 반군간 합의를 통해 구성됐고 소수민족이 국무위원으로 참여한다.

CRPH는 지난해 11월 총선에서 당선됐지만 군부가 쿠데타 이후 의회를 해산하면서 의원직을 상실한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소속 의원들이 주축이다. 아웅산 수지 국가고문을 따르는 CRPH는 군부를 테러단체로 지정하고 소수민족을 포섭해 자체 정부와 자체 무력인 연방군 설립을 도모해왔다.

반면 군부는 비상사태시 군의 개입을 허용한 현행 헌법을 근거로 정통성을 주장한다. CRPH를 불법단체로 지정하고 지도부에 대해 반역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군부가 반군부 진영 탄압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양측간 내전 가능성이 가시화되는 모양새다.

익명을 요구한 CPRH 위원은 미얀마 나우에 "임시정부는 소수민족 무장단체(EAO)와 합의에 따라 구성됐다. (임시정부에는) 소수민족 장관이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미얀마 나우는 CRPH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카렌족 인사 등이 임시정부 장관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CRPH는 자체 정부인 '국민 통합 정부(National Unity Government)'는 내각제 정부로 대통령과 국가고문, 부통령 2명, 총리, 장관 등으로 구성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소수민족을 포섭하기 위해 내건 '연방 민주주의'에 따라 주(州) 지도자들에 권력 이양도 예고했다.

임시정부 총리는 조 와이 소 양곤의대 학장이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쿠데타 이전 양곤의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했던 인물로 쿠데타 이후에는 시민불복종운동(CDM)에 참여해왔다. CRPH에 의해 3대 사회 부처(노동·이민·인구·교육, 보건, 체육) 장관 권한대행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CRPH가 지난달 31일 군부의 기득권과 정치 개입을 인정한 현행 헌법 폐지를 선언하고 새로운 헌법 제정을 위해 마련한 청사진인 '연방 민주주의 헌장'에 따르면 임시정부는 군사정부의 통치 구조 약화, CDM 지원, 국가방어 준비 등 임무를 맡게 된다.

CRPH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미얀마 나우에 "모두가 알듯이 이번 (임시정부) 내각은 반독재전쟁 중에 구성됐다"며 "이는(임시정부는) 혁명정부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고 한 바 있다.

미얀마 정부와 정전협정을 맺은 10개 EAO로 구성된 평화조정위원회(PPST)는 지난 4일 성명을 내어 연방 민주주의 헌장 선포를 환영했다. PPST는 군부 쿠데타 이후인 지난 2월20일 군과 모든 정치적 대화를 중단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ironn108@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