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숨쉬기도 힘들다…베이징 하늘 누렇게 뒤덮은 최악의 황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베이징의 하늘이 다시 누렇게 변했다. 지난 15일 로이터통신은 몽골과 중국 내몽골(네이멍구)의 모래먼지가 강풍을 타고 밀려들면서 베이징 대기질지수(AQI)가 나빠졌다고 전했다. 15일 오후 4시 기준 베이징 대기질지수는 324를 기록했다. 저녁이 되면서 더욱 짙어진 황사에 일부 도시 AQI는 1300을 넘어섰다. AQI 300 이상이면 공기질 최악 단계다.

이에 따라 중국중앙기상대는 11개 성급 지역에 황사 청색 경보를 발령했다. 16일 오전 8시부터 17일 오전 8시까지 신장 동부와 난장 분지, 네이멍구 중부, 닝샤, 산시성 중북부, 허베이성 남부 등에 황사가 나타날 것으로 예보했다.
서울신문

UPI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UPI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UPI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래먼지가 폭우와 함께 떨어지면서 15일 베이징 도심에는 음산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이에 대해 베이징에 거주하는 게리 지(48)씨는 “벌써 몇 번째 황사 폭풍인지 모르겠다. 기분이 좋지 않다”고 푸념했다. 지씨는 로이터통신에 “대기질이 예년보다 훨씬 더 나빠졌다. 숨쉬기가 힘들어졌다. 모래먼지가 눈과 코로 다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매년 불어오는 모래 폭풍의 발원지로 몽골 고비 사막을 지목한다. 중국 간쑤 지역 대표들도 지난달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중국에 유입되는 모래 폭풍 절반 이상이 몽골 남부에서 시작됐다고 밝혔다. 반복되는 황사 피해에 베이징은 국경을 따라 모래폭풍 방어를 위한 나무 수백만 그루를 심는 등 ‘만리녹색장성’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지만 아직 효과는 미미하다.
서울신문

UPI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UPI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황사의 영향으로 17일 우리나라 전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매우 나쁨’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기상청은 밝혔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