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중소·중견기업 화학물질 안전관리 지원사업 추진…5년간 591억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업장별 안전관리모니터링·시설개선·컨설팅 등 지원

뉴스1

© News1 장수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분야 친환경관리 인프라 구축' 사업을 공고하고, 사업수행 주관기관과 사업대상 지역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에 착수한다고 18일 밝혔다.

제조분야 친환경관리 인프라 구축 사업은 화학물질·소재를 사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올해 국비 44억1300만원, 5년동안 총 59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사업은 화학기반의 석유화학, 바이오, 이차전지 등 지역별 특화산업을 핵심적으로 육성 중인 3개 산단을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주요 지원 사항으로는 Δ유해물질 확인․저감을 위한 'OPEN LAB 방식의 성능평가' Δ소규모 사업장 등의 사고 방지와 자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관리 통합지원프로그램' 운영이다.

'OPEN LAB' 방식은 친환경적 소재의 개발과 물질 유해성 확인·저감 등을 위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맞춰 3개 OPEN LAB센터에 54종의 장비를 구축하고, 5년간 총 500건의 성능․시험평가를 지원한다.

국제환경기준과 유해성 성능·시험평가 관련 EU REACH(화학물질 관리제도), 국내 화평법 등의 대응 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비용·시간 제약으로 소규모 기업에서 활발하지 못했던 R&D(연구과제)단계별 유해성 검증과 수입소재 사전검사(pretest)등에 대해서도 지원할 계획이다.

저비용으로 24시간 주말 이용이 가능한 OPEN LAB 시스템은 유해성 평가 관련 기업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지원 방식이다. 평균 3개월 이상 소요되는 시험대기기간은 30%, 비용은 사업기간 중 75%, 사업 종료 후에도 20% 이상 절감될 예정으로 유해성 평가와 관련해 그동안의 기업 애로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전관리통합지원은 안전분야 투자가 어려운 소규모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Δ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보급 Δ노후화, 고위험 시설의 개선 Δ컨설팅 등 3종의 사업장 안전 통합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모니터링시스템은 기존의 사외배관, 도로, 공공시설 등 사업장 외부 관측 방식과 차별화 해 사업장 내 유해물질 취급시설에 대해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 같은 패키지형 연계 지원을 통해 중소사업장의 자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와 안전 관련 규제 대응에 대한 기업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수성 산업정책관은 "국내·외 환경규제 대응과 사업장 안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제조기업이 연구개발, 생산․수출에 집중할 수 있는 산업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고 관련 세부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reshness41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