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국내기업 57% "탄소중립 가야할 길"..3분의 1은 "대응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기업은 '2050 탄소중립'을 가야할 일로 보면서도 당장은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평가했다. 또 기업 3분의 1은 비용부담 등으로 탄소중립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중인 기업(684개사 중 403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2050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57.3%가 2050 탄소중립을 '어렵지만 가야할 길'로 평가했다. 이에 비해 '현실적으로 탄소중립은 어렵다'는 기업도 42.7%나 됐다.

전자신문

탄소중립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온실가스 순배출을 '0'으로 하겠다는 목표다. 유럽연합(EU)·일본이 2050년,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선언했다. 미국 역시 바이든 정부가 출범하면서 탄소중립을 공언한 상태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했다.

국내기업은 당장에는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보는 곳이 많았다.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경쟁력 약화 위기(59.3%)' 또는 '업종 존속 위기(14.9%)'라고 응답한 기업이 74.2%를 차지했다. '경쟁력 강화 기회'라고 보는 기업은 25.8%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기업 64.8%는 탄소중립 정책에 '대응 중(31.0%)' 또는 '대응계획 중(33.8%)'이라고 답했다. 반면 35.2%는 '대응하지 못 한다'고 답했다.

탄소중립 대응에 나선 기업은 그 이유로 규제를 주로 꼽았다. '현재의 규제(39.0%)' 또는 '규제강화 대비(21.7%)'가 60.7%를 차지했다. 'ESG 실천(16.9%)', '경쟁력 강화(12.5%)', '공급망 등의 요구(5.2%)', '기후위기 대응 동참(2.9%)' 등 적극적 이유로 대응한다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대응 내용으로는 '사업장내 온실가스 감축투자(75.5%)'가 대부분이었다. 이외 'RE100 등 이니셔티브 참여(9.3%)', '외부감축사업 추진(7.6%)', '탈탄소 기술개발 참여(7.2%)' 등이 뒤를 이었다.

아직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비용 부담(41.7%)' '감축방법 부재(31.3%)' '우선순위에서 밀림(22.2%)'순으로 이유를 들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R&D) 과제를 요구했다.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24.8%)'을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공정가스 대체·감축 기술(22.5%)',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22.2%)'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을 위해 시급한 정책과제로 '감축투자 지원(36.7%)'과 '탈탄소 혁신기술 개발'31.0%)'을 요청한 기업이 많았고, '재생·수소에너지 공급인프라 구축(15.1%)', '법제도 합리화(11.2%)', '협력 네트워크 구축(5.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김녹영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센터장은 “탄소중립을 현실화하는 길은 신재생에너지 안정적 공급과 탈탄소 혁신기술에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R&D 지원과 함께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