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주요국 취업자 감소 폭 줄었지만… 일부 일자리 소멸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美·獨 등 경제 규모 상위 10개국 대상 분석

2020년 4월 7.8%… 같은 해 12월에는 3.1%로

회복 기대 커지지만, 기업들 고용 움직임 안 보여

장기실업 증가하며 경력 단절 등 실업 굳어질 우려도

세계일보

서울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의 구인 게시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주요국의 취업자 감소폭이 줄어들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금융위기 때보다는 취업난이 거세다. 영세기업이 몰락하고 대형기업 위주 재편 시, 일자리 증가에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일부 일자리는 아예 사라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8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 포커스 최신호에 따르면 주요국 취업자 수 감소 폭은 지난해 4월 7.8%(2019년 12월 대비)에서 같은 해 12월에는 3.1%로 축소됐지만, 여전히 금융위기 당시 감소 수준(최대 2.8%)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스페인, 호주, 일본, 한국 등 경제규모 상위 10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현재 주요국 취업자 수는 각국이 경제활동을 재개하면서 상당폭 늘어났다. 국가별로는 코로나 확산 초기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감소 폭이 컸으며, 이 중 미국은 고용이 상당부문 회복됐지만 여전히 감소폭이 크다. 지난해 12월 미국의 실업자 감소폭은 891만명으로 주요국 1339만명의 66.5%를 차지했다.

유로지역의 경우 코로나19의 확산과 경기 위축에 비해 취업자 수 감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럽의 고용유지제도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고용은 유지돼도 단축 근로, 일시휴직 등으로 실제 근무시간은 크게 감소했다. 유럽 주요국의 고용지원 대상자는 지난해 4월 중 경제활동인구의 20%에 달했으며, 2020년 말 기준으로는 6% 정도인 것으로 분석됐다.

문제는 앞으로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주요국은 고용 회복세가 지난해 4분기부터 주춤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백신 보급과 재정정책 확대 등으로 경기회복 기대는 커지고 있지만, 기업들은 고용을 위한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세계일보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의 한 구직 센터에 휴점 안내문이 붙어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실업과 영구해고 증가하면서 경력 단절과 구직 의욕 상실로 실업이 굳어질 우려도 제기된다.

한은은 향후 고용회복에 두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다. 우선은 올해 2분기부터 서비스업 정상화에 힘입어 고용상황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개선된다는 전망이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영세업체의 위축과 재택근무, 자동화, 온라인소비 확산 등 변화된 근로 환경으로 고용 확대가 완만하게 진행될 가능성을 함께 제기했다.

근로시간이 크게 줄어든 유럽의 경우 업황 회복에도 여전히 고용보다는 근로시간 확대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정부의 고용지원이 축소되면서 지원제도 대상자 일부가 실업자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영세업체가 장기휴업의 영향으로 문을 닫고 대형기업이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우려된다. 정보통신기술(IT) 기술로 무장한 대형기업이 시장점유율을 확대한다고 해도 일자리가 늘어날 가능성은 작다는 점도 취업 관점에서는 우려스럽다.

재택근무와 자동화, 비대면 소비 확산 등으로 일부 일자리는 아예 사라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의 경우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도 재택근무 비중이 14.6%를 유지할 전망이다. 온라인소비 확대도 대면서비스업에는 위험요소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기자간담회에서도 이 같은 종전 일자리의 소멸 가능성이 언급됐다.

컨설팅기업인 매켄지는 공공서비스, 건설, 수리, 고객서비스, 판매, 생산, 창고, 사무지원 등의 일자리가 2030년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의료보조, 과학·기술·엔지니어링, 법률전문직, 예술직 등을 늘어날 것으로 봤다.

엄형준 기자 ti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