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최악 경영난 마사회 구명줄 온라인 경마…회장 갑질 논란에 발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선 의원 출신 김우남 마사회장, 측근채용·폭언 논란

文대통령 지시에 청와대 감찰, 노조·시민단체 “사퇴하라”

온라인 경마 허용 마사회법 개정..농식품부 "갑집 논란 끝나야 논의"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최악의 경영난에 처한 마사회가 구명줄로 추진해온 온라인 경마사업이 예상밖 악재에 부딪쳤다. 가뜩이나 시민단체 등이 사행성을 조장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우남 한국마사회 회장의 갑질 논란으로 운신의 폭이 좁아진데다 이미지 타격까지 입은 탓이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을 지낸 중진 의원인 김 회장 취임을 계기로 온라인 경마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했던 마사회는 당혹해 하는 표정이다.

이데일리

무관중 경마를 실시하는 서울경마공원이 비어있다. (사진=한국마사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5일 마사회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달 4일 취임 이후 ‘온라인 마권 발매의 조속한 법제화’를 역점과제로 제시하고 국회와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간 협의를 추진해 왔다. 17~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김 회장은 19대 국회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국회에는 온라인 마권 발매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마사회법이 발의돼 있다. 지난 2월 열린 농해수위 전체회의에서는 농식품부가 3개월 내 구체적 대안을 마련해 소위원회에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정부는 시민단체 등이 사행성 조장 등을 이유로 강력 반대하고 있다며 온라인 경마 도입에 있어 국민여론이 우선이라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 왔다.

마사회는 여당 중진 의원 출신인 김 회장이 온라인 경마 도입에 부정적인 정부부처들을 설득하는데 한 몫을 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예기치 못한 갑질 논란으로 발목이 잡힌 상태다.

마사회는 코로나19 사태이후 정상적인 경마장 운영이 불가능해지면서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 경마장 수입이 끊겼는데도 말산업 붕괴를 막기 위해 울며겨자먹기로 무관중 경마를 운영하고 있어 상금·운영비와 인건비 등으로 지난해에만 4500억원 가량의 적자를 기록했다.

마사회가 온라인 경마 도입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다. 농식품부는 온라인 경마에 대한 국민 인식 여부를 살피는 한편 마사회에 온라인 마권 발매를 위한 기술적 방안 마련을 요구한 상태다.

현재 경마장 안에서는 모바일을 통한 마권 발매가 가능하지만 이를 온라인 전반에 도입하려면 차별화한 시스템이 필요한데 구매 한도 초과나 청소년 구매 등을 제어할 구체적 실행 계획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단순히 온라인 경마 도입을 반대한다기보다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도입이 우선이라는 것”이라며 “기관장을 둘러싼 논란이 마무리돼야 온라인 경마 논의를 다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김 회장은 측근을 비서실장으로 채용하려다 이를 반대하는 직원들에게 폭언·욕설했다는 폭로로 청와대 감찰을 받고 있다. 마사회 노조과 시민단체 등에서는 김 회장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박화중 마사회 노조 부위원장은 “김 회장은 입장문을 낸 이후 노조측에 별도로 의사를 전달하지 않아 소통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며 “감찰 결과가 노조 요구(해임 등)와 다르다면 상급단체와 연계한 사퇴 요구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김우남 한국마사회장. (사진=한국마사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