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인플레+금리인상+추경까지…10년물 국채금리 연 2.2% 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채 10년물 2.202%, 2년7개월만 최고치

3년물 기준금리 스프레드도 3월 이후 최고

한은 1.5조원 국고채 매입 예고, 상반기 총 4.5조원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3년물을 제외한 채권시장 금리가 일제히 올랐다. 특히 10년물 금리는 나흘 연속 올라 연 2.2%를 넘어섰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2.2%를 넘긴 것은 2년 7개월만에 처음이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6%를 기록, 9년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재정당국과 통화당국은 일시적인 물가 상승세라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일축했지만 당분간 채권시장은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경계감 등과 맞물리며 약세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데일리

(그래프=이미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일 국고채는 통계청의 물가지표 발표 직후 단기물과 중장기물 모두 상승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0년물 금리는 0.016%포인트 오른 2.202%를 기록했다. 2018년 11월 22일(연 2.206%)이후 최고치다. 20년물과 30년물도 0.008%포인트, 0.009%포인트씩 올라 2.292%, 2.289%를 기록했다.

단기물도 3년물만 전일 대비 0.007%포인트 하락한 1.206%를 나타냈을 뿐 1년물과 2년물은 전일 대비 0.003%포인트, 0.013%포인트 올랐다. 3년물이 강세를 보인 것은 이미 기준금리 인상 영향이 반영된 데다가 증권사 등의 국채선물 매수 덕분이었다. 그러나 기준금리와 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 간 금리 스프레드(차이)는 지난달 31일 0.727포인트까지 벌어져 3월 15일(0.738%) 이후 가장 크게 벌어졌다.

이날 국채시장 금리 상승을 이끈 것은 5월 소비자물가 지수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2.6% 상승했다. 2012년 4월(2.6%) 이후 9년 1개월만에 최고치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이 일시적이라고 잇따라 진화에 나섰지만 약세 기조를 되돌리진 못했다. 한은은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서는 지난해 기저효과와 농축수산물 등 공급 측면의 요인으로 일시적이라고 봤지만, 수요 개선세를 반영하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5월엔 근원물가가 1.5% 올라 2017년 9월(1.6%) 이후 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 중심의 물가 상승세는 한은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준다. 일각에선 연 0.5%의 기준금리 체제하에서 3년물 국고채 금리가 1.2%를 넘어서는 것은 당장 기준금리를 올려도 무방할 정도라고 분석했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3년물 금리를 기준으로 보면 연내 두 번 이상 금리 인상을 선반영한 레벨이라서 너무 높은 수준이라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장기물은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 등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좀 더 유효하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5차 재난지원금 지급 등과 관련된 2차 추경 편성에 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이란 부담도 금리 상승에 한 몫을 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재난지원금이 지난해 수준으로 지급된다면 예산 규모만 14조3000억원인데다 여기에 자영업자 손실 보상금이 6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추경은 국고채 발행으로 이어지는 만큼 채권 금리 상승(채권 가격 하락)을 가져온다.

이에 따라 한은은 국고채 시장금리 상승세를 완화하기 위해 3일 1조5000억원 가량의 국고채 단순 매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에 밝힌 5조~7조원의 매입 계획의 일환이다. 3~4월에 3조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 매입을 고려하면 총 4조5000억원 규모의 매입이 이뤄지는 것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27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올 상반기 5조~7조원의 국채 매입 계획을 세웠는데 지금까지 3조원을 매입했고 6월말까지 나머지 약속된 금액을 매입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