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는 6일 손씨 사건과 관련 ‘고인이 집단 살해당한 거다’ ‘누군가가 시신을 바꿨다’ 근거 없는 주장들이 난무하다며 조회수 수백만 회를 기록한 몇몇 채널들, 한 달에 천만 원 넘게 버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JTBC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체에 따르면 구독자 7만5000여 명을 보유한 한 유튜브 채널은 고 손정민 씨의 죽음 뒤에 네 명의 용의자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채널은 손 씨가 게임을 같이 하던 팀원들에게 핀잔을 주자, 이들이 집단 살해를 계획했다고 가정했다. 해당 영상의 조회수, 136만 회를 기록했다.
이외에 ‘단독’, ‘특종’ 등 표현을 써가며 40여 개의 영상을 올렸는데, 많게는 100만 회 넘는 조회수를 넘어섰다. 매체가 온라인 툴 서 너개를 이용해 해당 채널의 예상 수익을 확인해본 결과 약 월 1300만 원으로 예상됐다.
故 손씨 친구 측은 지난 1일에 서울 서초경찰서에 한 유튜버를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소했다. 해당 유튜버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가 손씨 사건을 다룬 방송을 내보낸 뒤인 지난달 31일 자신의 채널에 영상을 게시했다. 해당 영상에는 A씨 측 변호사와 SBS 소속 기자가 친형제 사이로, 이번 사태를 무마하기 위해 모종의 거래를 했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허위 주장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 “터무니없는 의혹 제기를 한다든가, 터무니없는 문제 제기를 해서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벌기 위한 행동을 ‘표현의 자유’라고 할 수 있냐”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