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김정은 2인자' 1비서 인선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외교가에서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2인자인 제1비서 인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전원회의에서 제1비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했으나 아직까지 드러난 것은 없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전원회의가 전날 폐회했다고 보도하면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후보위원들을 소환 및 보선하고 당중앙위원회 위원·후보위원들을 소환 및 보선하였으며 국가기관 간부를 해임 및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발표를 볼때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가 막을 내렸지만, 관심을 모았던 제1비서에 대한 인선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지난 1월 열린 8차 당대회에서 당 규약을 개정해 '총비서의 대리인'인 제1비서직을 신설하고 그 선출 권한을 전원회의에 뒀다.


이에 따라 이번 전원회의에서 제1비서에 대한 선거가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폐막 때까지 이와 관련한 내용은 전무했다.


북한이 제1비서를 선출하고도 공개하지 않았을 가능성은 적다는 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북한이 1월 당 대회에서 '자리'를 만들었으면서도 6개월째 비워놓고 있다면 김 총비서의 후계자를 위한 자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 총비서가 아버지 김정일 사망 이후 한때 제1비서를 맡은 점이 이를 방증한다.


일각에선 제1비서직이 비서국의 최선임 자리라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규약은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 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 비서들을 선거한다”고 규정해 제1비서를 여러 비서와 함께 언급했다.


제1비서가 비서 중 가장 서열이 높은 이에게 주어지는 자리라면 조직비서를 맡고 있으면서 김 총비서의 신임을 받는 조용원이 겸임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도 최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조용원 조직비서가 제1비서가 되더라도 김 총비서의 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에게 2인자 역할이 부여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