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경제 가장 큰 위협요인은 가계빚.. 금리인상땐 영끌·빚투족 직격탄 ['하반기 경제전망' 설문 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부채·금리 전망


올해 우리 경제의 최대 위험요소는 날로 급증하는 가계부채로 나타났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이번 설문을 통해 올해 하반기 국내 경제에 끼칠 가장 부정적 요인으로 '가계부채 증가(25%)'를 꼽았다. 소속별로는 설문에 참여한 금융기관의 31.7%가, 연구소와 기업은 각각 16.7%, 18.9%가 해당 요인을 택했다.

향후 5년간 우리 경제에 위협이 될 요인도 '가계부채 증가(19.5%)'였다. 금융기관의 18.8%, 연구소와 기업 각각 22.2%, 20.2%가 이 같은 응답을 했다.

전문가들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경제위기의 뇌관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올 1·4분기 말 가계부채 규모는 사상 최대인 1765조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103%를 넘어선 것이다.

이처럼 가계부채가 급속도로 늘어난 데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초저금리 시대가 시작됨과 동시에 '영끌'을 통한 '빚투' 열풍이 겹친 탓으로 분석됐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지난 4월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해 다음달부터 전 규제지역 6억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한 주택담보대출과 1억원을 초과하는 신용대출에 차주단위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기로 했다.

시중은행들은 선제적으로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의 우대금리를 축소하거나 폐지해 가계부채 증가세 조이기에 나섰다. 인터넷은행의 경우 고신용자를 대상으로 신용대출을 갱신할 때 금리를 올리기도 했다.

그럼에도 정부 차원에서 무주택 청년과 실수요자의 내집마련을 위해 초장기 정책모기지를 출시하고, 보금자리론 한도와 청년 전월세 대출 한도를 확대하는 등 대출완화책을 동시에 펴 가계부채 증가세를 확실하게 억누르지는 못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가계부채가 급증하다 보니 전문가들은 '금리인상' 역시 한국 경제의 위험요소로 꼽았다. 설문에 응답한 전문가 16.7%는 금리인상을 2021년 하반기 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선택했다.

이는 전체 5가지 항목 가운데 3번째에 해당한다. 보통 기본적으로 금리가 인상되면 소비도 주춤하지만, 지난해 빚투 여파로 영끌로 대출한 이들의 이자 부담이 확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전문가들은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상 시기를 '2022년 상반기'로 택했다. 응답비율은 각각 38.1%, 48.7%였다.

다만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9월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공식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한국은행도 연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영끌과 빚투로 인한 이자상환 부담이 올해부터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king@fnnews.com 이용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