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코로나 심상찮은 日…스가 "긴급사태 땐 무관중 올림픽도 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로이터, 日정부 소식통 인용 "2주 이상 중점조치 연장"

2주 연장 땐 올림픽 개막 넘겨…관중 1만→5천명 축소

일부 소식통 "긴급사태 재발령 가능성…8일까지 결정"

스가 "국민 안전·안심 최우선…무관중으로 갈 수도"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도쿄올림픽 개막을 20여일 남겨둔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일본이 주요 지역에서의 긴급사태를 종료한 뒤 이달 11일까지 유지하기로 한 코로나19 중점 조치를 2주일 또는 그 이상 더 연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만약 일본에서 긴급사태가 재차 발령될 경우 올림픽에서 관중 입장 없이 경기를 치를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이데일리

스가 총리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정통한 4명의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 일본 정부가 도쿄도와 오사카부 등 전국 10개 광역자치단체에 발효 중인 `감염병 만연 방지를 위한 중점 조치`를 이달 11일 이후 2주일 또는 그 이상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당초 일본 정부는 이들 지역에 내렸던 긴급사태를 해제한 뒤 이를 중점 조치로 낮춰 발령했고, 이 역시 11일 이후 해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재차 증가함에 따라 이를 추가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

한 소식통은 “최근 다시 신규 감염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올림픽 경기장에 출입할 수 있는 관중 수를 제한하는 쪽을 유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중점 조치일 경우 경기장 관중을 5000명으로 제한하되, 이 마저 해제된다는 전제 하에서 1만명 입장을 추진해왔다.

특히 다른 소식통은 “의료 시스템에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도쿄도에 대해 긴급사태를 재발령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소식통들은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일본을 방문하는 이달 8일까지 최종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도쿄올림픽의 주 개최도시인 도쿄는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14명에 이르며 최근 한 달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오는 23일 도쿄올림픽이 개막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코로나19 재확산과 그에 따른 의료체계 대응 미비에 대한 우려감으로 올림픽 개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해외 관중은 이미 금지된 상태이고, 일본 여당 내에서도 무(無)관중 경기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날 스가 총리는 총리 관저에서 가진 기자단과의 회동에서 “국민의 안전과 안심을 최우선으로 해서 대응하고 있다”면서 “만약 일본 내에서 긴급사태가 재차 선언될 경우 무관중으로 경기를 치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올림픽에서의 관중 수용 여부는 대회 조직위원회와 IOC 등 5자간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이와 관련,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도쿄도 등에서 중점조치가 재연장될 경우 5자 협의를 통해 무관중 여부를 포함해 입장 관중수 상한을 낮추는 등의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