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김정은·시진핑 친서 교환…"적대세력 도전 더 악랄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중우호조약 60주년 맞아 친서교환..."전략적 의사소통 강화"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중우호조약 60주년을 맞아 친서를 교환하고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이 북·중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이하 북·중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맞아 교환한 친서 전문을 공개했다.

시 주석은 친서에서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해 중·조관계의 전진 방향을 잘 틀어쥐고 두 나라의 친선협조 관계를 끊임없이 새로운 단계로 이끌어나감으로써 두 나라와 두 나라 인민에게 더 큰 행복을 마련해줄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 주석은 "지난 60년간 중·조 쌍방은 조약의 정신에 따라 서로 굳건히 지지하고 손잡고 어깨 겯고 투쟁하면서 두 당, 두 나라 사이의 형제적인 전통적 친선을 강화하여 왔으며 사회주의 위업의 발전을 추동하고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였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조선이 경제와 인민 생활을 발전시키며 사회주의 건설 위업을 힘 있게 추진하고 있는 데 대해 견결히 지지한다"고 전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복잡다단한 국제정세 속에서도 조·중 사이의 동지적 신뢰와 전투적 우의는 날로 두터워지고 있다"고 화답했다.

이어 "조·중 우호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은 적대 세력들의 도전과 방해 책동이 보다 악랄해지고 있는 오늘 두 나라의 사회주의 위업을 수호하고 추동하며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데서 더욱 강한 생활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두 나라의 귀중한 공동 재부인 조·중 친선을 더없이 소중히 여기며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는 성스러운 한길에서 중국공산당과 중국 정부, 중국 인민과 굳게 손잡고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양국은 1961년 7월 11일 베이징(北京)에서 김일성 주석과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가 참여한 가운데 북·중우호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는 한 나라가 침공을 당하면 다른 나라가 참전하도록 한 '군사 자동개입' 조항이 포함됐다.

또한 이날 북한 외무성도 홈페이지에 글을 싣고 북·중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맞아 중국과의 소통과 친선 관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외무성은 "오늘 조·중 두 나라는 복잡다단한 국제정세 속에서도 사회주의 위업의 정당성에 대한 신념을 굳게 가지고 전투적 우의와 혈연적 유대의 위력으로 적대 세력들의 강권과 발악적 책동을 물리치며 휘황한 미래를 향하여 매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냉전 종식 후 제국주의자들에 의해 반사회주의 광풍이 보다 세차게 일고 여러 나라 사이의 관계가 급격히 변할 때에도 지심 깊이 뿌리내린 조·중 친선은 흔들리지 않았다"면서 "진정한 동지적 우의와 신뢰, 두터운 친분 관계에 의하여 날로 승화 발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와 습근평 동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여러 계기들에 친서와 축전 교환을 통하여 동지적 신뢰를 더욱 두터이하시고 전략적 의사소통을 긴밀히 하시였다"고 전했다.

외무성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조·중 친선은 앞으로도 두 당, 두 나라 수뇌분들의 깊은 관심과 직접적인 지도 밑에 더욱 공고 발전될 것이며 두 나라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은 끊임없이 승승장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해원 기자 momo@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