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5G망 단독모드’ 첫 서비스
“배터리 사용 시간 늘어나” 주장
SKT·LG유플러스도 상용화 채비
“5G망 부족, 속도 느려져” 지적 나와
KT 직원이 15일 서울 광화문 사옥 근처에서 5세대 단독모드를 적용한 삼성전자 갤럭시S20 단말기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 K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세대(5G) 통신 인프라만 사용하는 독자노선을 갈지, 4세대(LTE)와 함께 갈지를 두고 통신사들이 갈림길에 섰다. KT가 15일 국내 통신사 최초로 5G 단독모드(SA)를 상용화했다고 15일 발표하자 경쟁사들이 “오히려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며 견제에 나섰다.
5G 단독모드는 데이터 송수신과 단말기 제어 모두 5G망으로만 처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내 통신사들은 2019년 상용화 이후 지금까지 5G와 LTE를 함께 사용하는 5G 비단독모드(NSA)를 채택해왔다. 데이터 송수신은 5G망으로 하고, 단말기 제어는 LTE망을 쓰는 식이다. 해외에서는 미국 티모바일, 중국 차이나모바일, 독일 보다폰, 호주 텔스트라 등이 5G 단독모드를 채택하고 있다.
KT의 5G 단독모드는 우선 삼성전자 갤럭시S20 시리즈부터 제공된다. KT는 추후 단말기 업체와 협력해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KT 측은 “보다 촘촘하게 구축되는 5G 기지국 특성을 활용해 연말부터 SA를 활용한 한층 정교한 재난문자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G 단독모드(SA)와 비단독모드(NSA) 비교.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T는 5G 단독모드의 가장 큰 장점으로 ‘배터리 절감’과 ‘초저지연’(빠른 반응)을 꼽는다. 5G 커버리지에서는 LTE 신호 없이 5G만 잡게 돼 단말기의 배터리 손실이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갤럭시S20플러스로 단독모드와 비단독모드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비교했더니 각각 13시간38분, 12시간32분으로 단독모드 때 최장 1시간6분(8.8%)가량 오래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5G 단독모드는 기업용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도 유리하다. 비단독모드는 5G망과 LTE를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LTE의 지연 특성이 통신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자율주행차나 스마트공장 같은 차세대 기술 구현을 위해서는 결국 SA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속도’ 측면에서는 단독모드가 불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기술 수준과 5G 전국망 설치 현황을 고려할 때 5G망으로만 데이터 등을 처리하면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느려진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5G 상용화 초기부터 트래픽 대부분을 5G망으로 보내고, 신호제어 처리는 LTE망으로 했기 때문에 단독모드 전환 이후 통신 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처음부터 5G망 중심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기존에도 최고 속도가 1.5Gbps였던 만큼 단독모드로 전환해도 소비자들이 체감할만한 속도 저하는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향후 하반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5G 품질 평가에서 KT의 5G 속도 저하 여부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옵션4’ 5G 단독모드를 준비 중이다. 비단독모드가 가진 속도의 이점과 단독모드가 가진 초저지연의 장점 모두를 살릴 수 있는 기술이라는 설명이다. LG유플러스는 KT와 같은 ‘옵션2’ 방식의 기술은 준비가 돼 있으며 시장의 요구가 있으면 서비스를 개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데 있어 산술적인 속도보다는 5G 커버리지에서 끊김이 없는 심리스(seamless) 서비스 구축이 가능한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김동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최대 속도가 필요한 대용량 콘텐트를 쓰는 사람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속도에 대한 체감은 달라질 것”이라며 “결국 5G가 LTE를 잡고 있는 게 LTE망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SA로 진화해 나가는 것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