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한 보수단체 회원이 26일 서울 광화문광장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기억공간 철거를 촉구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가 광화문광장에 있는 '세월호 기억공간'을 철거하겠다고 예고한 26일 서울시와 유족 간에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대립이 지속되고 있다. 유족 측은 기억공간을 대체할 장소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에 공간을 추가 설치하는 것은 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철거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서울시는 26일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사업 공사 진도에 맞추어 7월 중에는 해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오랜 기간 지연됐던 광화문 조성공사를 조속히 마무리해 시민 품으로 돌려드리기 위해선 기억공간 일대 부지도 8월 초부터는 공사를 본격화해야 한다"고 세월호 유가족에게 협조를 당부했다.
서울시는 공사 이후 광장 내 대체공간을 마련해달라는 유족 측의 요구에 대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 광장은 어떠한 구조물도 설치하지 않는 열린 광장으로 조성된다"며 "전임 시장 때부터 구상된 계획이고, 앞으로도 그 계획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세월호 기억공간 역시 다른 장소로의 이전 설치나, 광화문광장 조성 공사 후 추가 설치는 협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광화문광장에 특정 구조물을 조성·운영 하는 것은 열린 광장이자 보행 광장으로 탄생할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취지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서울시가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측은 기억공간 철거를 앞두고 지난 23일부터 사흘 연속 기억공간 내부의 사진과 물품 등을 정리하기 위해 기억공간을 찾았다. 그러나 세월호 관련 단체 활동가와 유족 등의 제지로 번번이 무산됐다.
이날 오전에도 김혁 서울시 총무과장이 세월호 기억공간을 찾아 유족과 대화를 나눴으나 모두 입장 변화가 없다는 점만 재확인했다.
유족 측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와서 가족들과 만나 협의 과정을 꾸리며 절충이 돼야만 풀어나갈 수 있다"며 시장의 방문을 요구했다. 김 과장은 "대외적으로 발표한 철거 날짜가 있기 때문에 일단 계속 이해와 설득을 구하려고 찾아와서 말씀을 드리는 점을 고려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날 철거 소식이 알려진 이후 유가족과 이들을 지지하는 시민들, 유튜브 방송을 촬영하는 보수 유튜버 등이 기억공간 주변에서 대치하면서 혼란 상황을 연출했다. 유족 측과 시민들은 '세월호 기억과 철거를 중단하라' 등 피켓을 들며 항의하고, 보수 유튜버들은 "여러분은 방역 4단계를 위반하고 있다"는 등의 말을 확성기로 반복해 외쳤다.
서울시가 철거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철거를 강행하는 것은 부담이 크다. 세월호 사건이라는 민감한 사안을 대화로 풀어가지 못할 경우 자칫하면 여론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도 우선 이해와 설득을 우선순위에 두고 사태를 풀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서울시의원들도 중재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세월호 유족과 관련 지원단체는 서울시의 철거 예고 이후 나흘째 노숙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광화문광장 조성공사 중 이전 설치 및 새롭게 조성되는 광화문광장 내 기억공간 재설치를 요구하며 이를 위한 협의체 구성을 서울시에 요청했다. 공사가 끝나면 현재의 기억공간 자리가 아니더라도 적당한 위치에 크기를 조금 줄여서라도 설치·운영하게 해달라는 것. 또 기억공간의 임시장소 마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세월호 기억공간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광화문광장에 설치된 천막 분향소 등을 대신해 2019년 4월 12일 조성됐다. 그러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 착공시기가 늦어지면서 기억공간 운영도 연장됐다. 서울시는 기억공간에 있던 사진·물품 등은 서울기록원에 임시 보관한 뒤 2024년 5월 경기도 안산시 화랑공원에 추모시설이 완성되면 다시 이전할 계획이다.
강주헌 기자 z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