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탈레반, 아프간 장악

美에 협력했다 위험 처한 아프간 주민 수천명 더 구제(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언론·NGO 협조자 등 대상…요건 까다로워 실효성 의문 비판도

연합뉴스

아프간 어린이들
[AFP=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백나리 특파원 = 미국에 협력했다가 탈레반의 보복 위험에 처한 아프가니스탄 주민 수천 명이 추가로 미국에 정착할 대책이 마련됐다.

미 국무부는 2일(현지시간) 미국에 난민 지위로 영구 정착할 수 있는 아프간 주민의 범위를 확대하는 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미국은 '협력자 피신작전'에 따라 통역 등으로 미군 및 미 정부에 협력해온 아프간 주민들에게 특별이민비자(SIV)를 발급하고 있는데, 추가로 '제2 우선순위자'(P-2)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적용 대상을 늘린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이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투입됐던 이들이나 미국 언론 및 비정부기구(NGO)에 채용됐던 현지 주민들도 직계 가족과 함께 미국 정착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국무부는 수천 명이 추가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미 언론 및 NGO 내 고위 관계자가 일종의 인증을 해줘야 한다.

그러나 정책의 실효성을 둘러싼 비판론도 있다.

이 프로그램에 신청하려면 P-2 지원자들은 아프간을 떠나야 하고, 심사에 소요되는 12~14개월간 제3국에서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미국이 이들의 출국이나 제3국 체류를 도와주지 않는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이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일"이라며 "우리도 이를 알고 있다"고 말할 정도다.

국제구호기구인 인터랙션은 "아프간의 중요한 국경 검문소는 탈레반 통제하에 있고 이웃 국가들이 이들 개인과 가족을 환영하지 않을 수 있다"며 받아들일 수 없는 조처라고 비판했다.

국무부는 이웃국의 협력을 얻어내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아프간과 접한 이란과 파키스탄이 이미 국경 경비를 강화하고 있다는 시민단체의 주장도 나온다.

미국에는 지난달 30일 SIV 대상인 아프간 주민 약 200명이 도착했다. 이들은 버지니아주의 군 기지에 머물며 비자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현재 SIV에만 2만 명 정도가 신청했으며 이런저런 방식으로 미국 측에 협조한 아프간 주민의 규모는 더 많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5만명에 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달 말까지 아프간 주둔 미군 철군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9·11 테러 20주년으로, 미군 사령관이 이미 자리에서 물러나는 등 사실상 철군 작업이 마무리된 상황이다.

이 틈을 타 탈레반이 아프간에서 급속히 세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미 의회 및 시민사회에서는 미군에 협력했다 보복 위기에 처한 현지 주민들에 대한 대책을 바이든 행정부에 촉구해왔다.

nar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