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메타버스가 온다

메타버스로 장보고, 로봇경찰이 지키는 ‘5G 특화도시’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 발표

스마트공장·자율주행 등 5G서비스 특화도시에 구현

민간주도로 5G사업 확대…전문기업 94개→1800개

이데일리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8일 오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중앙공원에서 5G 자율주행 실증서비스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노재웅 기자] 핸들 없는 자율주행차로 출근을 하고, 학생들은 무선 가상현실(VR) 헤드셋을 끼고 가상학교로 등교한다. 저녁 식사는 메타버스 시장에서 장을 본 음식들로 해결하며, 어두운 밤거리는 사람 대신 드론과 인공지능(AI) 로봇 경찰이 시민 안전을 지킨다.

상상만으로도 흥분되는 경험들이 일상으로 다가오는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특화도시’ 건립을 정부가 추진한다. 내년 중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및 ‘5G 특화도시’ 후보지역을 선정하는 등의 절차를 밟는다. 사업 예산은 500억원 이상 규모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제5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이하 전략위)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위 회의에는 전략위 위원장인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해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부 대표, 홍경표 KT 융합기술원장, 이상민 LG유플러스 부사장, 전경훈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사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5G 특화도시 건립 추진

내년부터 5G 기반으로 VR·AR을 접목한 초실감 비대면 교육을 제공하는 스마트 스쿨을 구축하고, 재난이 발생한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기반의 의료서비스 플랫폼 개발한다.

소상공인 밀집지역을 메타버스 마켓으로 구현해 신규 판로를 지원하는 것과 5G를 기반으로 드론·로봇·AI 등을 결합한 치안 서비스도 연내 기획할 계획이다.

이처럼 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실감콘텐츠·디지털 헬스케어·스마트시티 등 5대 핵심서비스에서 성과를 도출하고 나면, 5G 특화도시 구축으로 종합적인 실증에 나선다.

5G 특화도시는 연내 구체적인 기획을 마무리하고, 내년 예타 조사 및 후보지 선정을 거쳐 2023년부터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곳에서는 지자체 공공업무도 5G 특수망을 활용하며, 공장·학교·도로·병원 등 도시 내 주요 시설마다 5G를 활용한 여러 융합서비스를 적용한다.

백병수 정보통신산업정책과 사무관은 “국토부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와 비슷한 콘셉트로 보일 수 있지만, 스마트시티는 5G 활용 서비스가 미비한 반면, 5G 특화도시는 5G 파생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라며 “도심에서는 군집주행이나 원격주행이 가능한 5G 기반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건설현장에서는 AI 기반 CCTV로 이상행동과 건축물 붕괴 등의 위험신호에 대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5G 융합서비스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G 전문기업 육성 위해 뉴딜펀드 조성


정부는 5G 활용 전문기업을 5년 내 현재의 20배 가까이 육성해 세계 최고 5G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5G 적용현장을 현재 195개에서 2023년 630개, 2026년 3200개로 확대하고, 5G 전문기업을 현재 94개에서 2023년 330개, 2026년 1800개로 육성할 계획이다.

예비창업·초기기업에는 혁신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과 전담멘토링을, 유망기업에는 뉴딜펀드 등을 통한 투자자금 지원을, 성장기업에는 미래 유니콘기업 선정, 성장자금 융자 및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통신·네트워크 융합서비스 부문 인재 양성에도 힘쓴다. 통신사 관계자는 “회의에서 기업들의 5G 융합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인재 양성에 대한 공감대가 크게 형성됐다”며 “이와 관련한 정부의 추진 전략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국형 5G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를 구축해 기업의 법·제도적 애로사항을 개선하고, 특화망 활성화를 위한 주파수 공급과 맞춤형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임혜숙 장관은 “G7 정상회의에서 5G 분야 협력이 강조되는 등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과제”라며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