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정부 VS 의료계 첨예한 대립

보건의료노조-정부, '총파업' 3일 앞두고 막바지 협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복지부 "국민불안감 덜기 위해 충실히 대화할 것"
노조 "신뢰 강조보다 구체적 실천, 시행시기 필요"
총파업 D-3, 정부-노조 시간제한 없이 무조한 협상


파이낸셜뉴스

송금희 보건의료노조 사무처장이 30일 서울 영등포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열린 제12차 노정 실무협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보건의료노조가 오는 9월 2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와 노조가 30일 막바지 협상에 나섰다. 보건복지부와 노조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영등포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만나 제12차 노정 실무협의에 돌입했다.

이창준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코로나19 발생 후 1년 7개월이 지나가고 있는데 현장에서 '번아웃'이 생기지 않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고 생각하고, 감염병 발생에 대비한 의료 인프라와 인력 확보 등 중장기 대책에도 이견이 없다"면서 "국민의 불안감이라 덜어드리기 위해 노정협의에 충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박향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그동안 협의를 통해 정부도 의료환경의 열악함을 확인했다"면서 "노조도 의료현장의 문제를 복지부가 단번에 혼자 해결할 수는 없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금희 보건의료노조 사무처장은 "총파업이 3일 남았는데 노정 간 신뢰를 강조하기보다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시행시기 같은 게 나와야 한다"며 "인력 문제 대책은 오는 2022년까지 마련하겠다고 했는데 복지부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을 제출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이선희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도 "이미 현장에서도 한계를 뛰어넘어 버티고 있다"면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를 거치면서 감염병전문병원이나 공공기관에 인력을 미리미리 채웠더라면 이렇게 한계치에 다다르지 않고 코로나19를 극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노조는 이날 시간제한 없이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노조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의료진이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봉착했다"면서 "앞으로를 위해서라도 공공의료 확충과 보건의료인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정부에 이와 관련된 구체적 요구사항을 전달한 바 있다.

정부와 노조는 지난 5월 이후 여러 차례 만나 의견을 조율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의 요구사항을 실현하기 위한 현실적 문제인 재정 문제가 합의를 막고 있는 상황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를 제외한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등 보건의료노동자로 구성된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속에 현재 하루 확진자가 1300명에서 2000명 사이를 오르내리고 있는 심각한 현실을 고려하면 노조의 총파업은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응 능력에 큰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