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2 (목)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10기가 인터넷 품질 좌우하는 국가 DNS…민간참여 늘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국가 DNS도 역대 최대치…하루 32억건

DNS 지연되면 `말짱 도루묵`…사고나면 `블랙아웃` 직결

민간기업 활용해 디도스 방어능력 높이고, 처리능력도 향상

`인터넷주소자원법` 개정 추진…민간전문가 정책 참여 확대

이데일리

임준형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주소기술팀장이 국가 도메인네임시스템(DNS) 추진방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KISA 제공)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서 국가 도메인네임시스템(DNS)질의량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통신의 첫 관문` 역할을 하는 국가 DNS가 5세대 이동통신(5G), 10기가 인터넷 등의 속도를 좌우하는 만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질의량 증가에 대비해 인프라를 확충하고, 민간 전문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인터넷 관련 정책에 민간 전문가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긴 `인터넷주소자원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국가 DNS도 역대 최대치…하루 32억건

6일 KISA 인터넷주소자원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 DNS 질의량은 일평균 25억2000만건으로 전년대비 16.7%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지난해 10월에는 일평균 32억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임준형 KISA 인터넷주소기술팀장은 “지난해 급증했던 트래픽이 올해 상반기에도 이어지면서 일평균 25억건에서 내려가지 않고 있다”며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24년에는 일평균 30억건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PC, 서버 등이 인식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때 처음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질의량은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입력할 때마다 1건씩 발생하는 것으로, 국가 DNS 질의량이 32억건이라는 것은 `.kr`로 끝나는 도메인 이름이 하루에 32번 입력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KISA의 인터넷주소자원센터 국가 DNS 관리 업무와 함께 국내 기업·기관 등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8월기준 국가 도메인은 약 110만건 등록됐으며, 국내 기업·기관 등에 할당된 IP주소는 1억1000만개에 달한다.

이데일리

(자료=KISA 제공)


DNS 지연되면 `말짱 도루묵`…사고나면 `블랙아웃` 직결

DNS는 관문 서비스다 보니 인터넷 통신품질과 연관이 있다. DNS 응답시간이 인터넷 이용자의 체감 응답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임 팀장은 “DNS는 통신의 첫 관문으로 병목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데, DNS에서 0.1초의 접속지연이 발생하면 이용자는 0.1초의 지연을 그대로 느끼게 된다”며 “아무리 5G, 10기가 인터넷을 통해 0.001초 이내의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DNS에서 느려지면 그 효과과 상쇄되기에 DNS 인프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해외 사고 사례를 보면 DNS 관련 사고는 인터넷 `블랙아웃`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 6월 미국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 업체의 접속장애로 인해 아마존, BBC 등 주요 글로벌 웹 서비스가 1시간 가량 다운됐고, 7월에는 아마카이 DNS 패치 오류로 인해 2400여개의 웹 서비스가 장애를 겪었다.

KISA는 안정적인 DNS 운영을 위해 국내 서울·분당·나주 등 12개, 해외에서는 중국·브라질·독일 등 3개를 합쳐 총 15개의 관리소를 운영하고 있다. 통신 3사의 인프라를 활용해 디도스(DDos)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트래픽 방어능력을 높였으며, 본원 시설에서는 가상화 기술을 적용해 DNS 처리능력을 향상시켰다.

임 팀장은 “일평균 25억건에 달하는 국가 DNS를 처리하는데 있어 매 건당 100밀리세컨드를 단축시키면 연간 6만9400시간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터넷주소자원법` 개정 추진…민간전문가 정책 참여 확대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인터넷주소 관리체계를 민간 주도로 바꾸는 국제적 추세에 맞춰 국내에서도 정부의 권한을 민간으로 이양하고 민간 참여폭을 확대하기 위한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조준상 KISA 인터넷주소센터장은 “우리나라 민간 기업들의 인터넷, ICT 역량은 전 세계 최고수준에 이르렀기에 민간 전문가가 많이 참여할수록 인터넷거버넌스 정책품질도 제고될 수 있다”며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인터넷주소정책심의위원회`의 명칭을 `인터넷주소정책위원회`로 바꿔 심의 뿐만 아니라 의결권한도 주는 내용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또 인터넷주소정책위원회에 참여하는 민간 전문가 수를 기존 위원장 포함 10명에서 20명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