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캠프, 대장동 TF·제보센터 설치…이재명 비판·민주당 '특검' 촉구
대선 본선 대비·지지층결집 기대…2030세대 잡기도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이 28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신사옥에서 열린 '100분 토론' 생방송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교안, 유승민, 최재형, 안상수, 하태경, 윤석열, 홍준표, 원희룡 후보. 2021.9.28/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이 '대장동 게이트'를 정조준하고 있다. 연일 대장동 의혹에 대한 논평을 발표하고, 캠프에 대장동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는 등 전방위적 공세에 나선 모습이다.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경선후보가 연관된 이번 의혹을 집중 공략해 본선 대비는 물론 지지층 결집을 도모하고, '불공정'에 민감한 2030세대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29일 야권에 따르면 홍준표 의원,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 등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은 각 대선 캠프에 대장동 게이트 관련 기구를 설치했다.
홍 의원은 지난 23일부터 공식 홈페이지에 '이재명 게이트 비리신고센터'를 설치하고 대장동 게이트 관련 공익제보를 받기 시작했다.
홍 의원 캠프는 "'이재명 게이트'는 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성남시장 시절, 대장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 등에 특혜를 제공했다는 개발비리 의혹"이라며 "반드시 대장동 비리의혹을 밝히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나라를 만들겠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28일 전 국토부 차관인 김희국 국민의힘 의원과 이기인 대변인 등으로 구성된 '대장동 게이트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원 전 지사는 지난 27일 '화천대유 의혹 규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TF단장은 김재식 법률지원단장이 맡았으며, TF는 부동산 부패 국민신고센터를 운영해 각종 제보를 받으며 불법 의혹 관련자가 있다면 여야를 불문하고 적극 대처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이재명 후보를 향한 비판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
홍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재명 게이트를 넘어 법조비리 게이트로 가고 있다"며 "특검으로 모든 것을 밝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역사상 유례없는 비리 대선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역시 이날 페이스북에 "이 지사는 대장동 개발을 설계했다고 자랑하고 선전했으나, 비리 혐의와 문제가 제기되자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역공을 펼치며 정작 특검 주장은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지사, 민주당은 하루빨리 특검을 수용해 모든 의혹을 말끔히 씻거나 문제가 있었다면 그에 대한 응당한 처벌을 받은 후 대통령선거에 나서야 한다"고 이 자사와 여권을 겨냥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전날 '이재명 지사에게 묻는다'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대장동 관련 의혹에 대한 이 후보의 해명을 촉구했다.
앞서 3차 대선후보 토론회에서는 원 전 지사가 대장동 게이트에 대한 대선후보 간 공조를 제안했고, 이에 유 전 의원과 윤 전 총장은 당 차원의 대응과 함께 모든 대권 주자가 참여해 호응을 대권 주자들의 호응을 받았다.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은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경선후보를 겨냥하고, 동시에 민주당에 특검을 요구하면서 다가오는 대통령선거 본선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여당을 향한 공세를 통해 지지층 결집도 기대하는 모습이다.
최근 선거에서 캐스팅보트로 떠오른 2030세대를 겨냥한 행보란 분석도 있다. 대장동 의혹은 2030세대가 민감한 부동산 관련 의혹이자, 특혜로 인한 '불공정' 논란인 만큼 이 문제를 적극 거론해 이들 세대의 표심잡기에 나섰다는 관측이다.
이들은 최근 화천대유에서 근무한 자녀가 퇴직금으로 50억은 받은 사실이 드러나 국민의힘에서 탈당한 곽상도 의원을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 이 역시 2030 세대를 겨냥한 행보로 분석된다.
pkb1@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