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폭염에 전력 부족 위기

"규제·전력난 피해갈 중국 신에너지株 봐야…태양광 맑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투자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중국의 전력부족 문제가 글로벌 시장의 큰 우려로 부각되고 있다. 불안정한 발전 구조와 중국 정부의 발전 제한 조치 영향이다. 이에 따라 전력부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규제 리스크가 없는 신재생에너지 섹터를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따른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동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중국 정부의 발전 제한 조치와 불안정한 발전 구조가 전력 부족을 야기했고, 감산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은 다운스트림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가 가장 확실한 대응법”이라고 말했다.

중국 전력부족의 원인으로는 불안정한 발전 구조가 꼽힌다. 화력발전(2020년 점유율 62.8%) 비중이 높은 중국에서 타이트한 석탄 공급이 이어지고, 여름철 홍수를 포함한 기후 문제로 수력발전량(점유율 17.3%) 또한 3분기부터 전년동기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력소비가 많은 중공업 산업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전력 수급이 불안 정해진 것으로 판단했다.

수요 증가로 필요한 발전량은 늘어나는 상황에서 수력발전량이 감소하자 화력발전이 부담하는 비중이 커져 타이트한 석탄 수급이 지속됐다는 평이다. 올 상반기 중국의 조강, 시멘트 생산량은 각각 전년동기 대비 12.9%, 14.9% 급증했고, 이에 1~8월 누적 화력발전량은 전년동기대비 12.6% 증가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 연료탄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며 화력발전 업체에게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며 “중국의 현 전력비 구조에서 정부가 인상시켜줄 수 있는 범위(10%)가 원재료 가격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중국이 전력 제한을 시행하면서 중국 전력난은 심화됐다고 짚었다. 이는 중국의 ‘에너지 소비 이중 통제’ 정책에 따른 조치로, 탄소 배출 절감을 위해 에너지 소비량과 에너지 소비강도(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를 제한하는 정책이다. 올해 중국은 탄소중립 계획 발표와 함께 14차 5개년 계획에서 2025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을 13.5%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 중국은 2021년 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을 전년대비 3% 줄여야 한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3.1%), 2019년(2.6%)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30개 성(省) 중 19개 지역의 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이 상반기에 연초 지정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각 지방정부가 연간 목표 달성을 맞추기 위해 공업용 전력 공급을 제한하거나 감산 조치를 취한 것이 중국 전력난을 심화하는 트리거로 작용했다”며 “발전 제한 조치의 영향은 특히 생산라인을 보유한 기업들이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전력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은 특히 업스트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봤다. 철강, 알루미늄, 폴리실리콘을 포함한 원자재 생산은 고전력을 필요로 한다. 결국 업스트림 생산시설 가동 중단 혹은 감산으로 이어져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4분기에 다운스트림 산업의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전력부족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도 규제 리스크를 피해가는 신재생에너지 섹터 비중 확대를 제시했다. IT 소프트웨어와 달리 정부가 탄소중립 달성과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라는 목표를 모두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육성시켜야 할 산업으로 꼽힌다.

이 연구원은 “14차 5개년 계획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5%(기존 2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올해 발표되는 태양광 관련 정책도 신규 발전규모 확대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는 통위, 융기실리콘, 양광전 등 태양광 관련주를 탑픽으로 꼽았다. 이 연구원은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태양광 밸류체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정책적인 수혜로 발전규모 확대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