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오징어게임' 북한 김정은·김여정도 봤을까…김정일은 '영화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소프트파워' 나이 교수 컨퍼런스]

미국의 전문가들이 '오징어게임' 등 한국의 대중문화예술 경쟁력이 당장 북한의 지도부에 영향을 주긴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봤다.

'소프트 파워'의 개념을 만든 조셉 나이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석좌교수 등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의견을 나눴다.

나이 교수는 강요하거나 비용을 내지 않고도 매력을 발휘해 원하는 것을 얻는 능력을 소프트 파워로 정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프트 파워는 (국가의) 크기와 반드시 상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며 "큰 나라도 덜 매력적일 수 있고, 반대로 작지만 아주 매력적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성동훈 기자 =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의 한 달고나 가게에서 시민들이 달고나를 하고 있다. 2021.10.1/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의 '오징어게임'과 같은 문화적 역량도 작은 국가의 큰 매력이란 차원에서 소프트 파워에 해당한다. 그는 이것이 당장 북한의 정책을 바꾸지는 못할 것으로 봤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서구의 영화를 좋아하는 '영화광'이었지만 그것이 대외정책에 영향을 주진 않았다.

나이 교수는 "김정은이 오징어게임의 매력에 큰 영향을 받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북한에 대해, (한국의 소프트파워) 그것이 지도층에는 영향을 안 주겠지만 대중의 장기적 변화에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소프트파워(연성권력) 개념을 세웠고 미 국방부 국제안보 담당 차관보를 지내는 등 미국의 학계, 정계에서 두루 활동했다.

빅터 차 CSIS 한국석좌 또한 한국의 대중 문화가 북한의 리더십 즉 지도부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겠지만 한국 음악이나 영화에 관심이 높은 북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수미 테리 CSIS 선임연구원은 "정보를 독점하려는 북한정권의 노력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며 "엘리트뿐 아니라 일반 주민들도 한국의 드라마를 보고 케이팝 노래를 듣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도 이미 오징어게임을 봤을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소프트파워는 비록 '소프트'하지만 실질적인 힘(파워)을 가질 수 있을 걸로 봤다.

한편 빅터 차 석좌는 미국 내 한국의 대중 문화의 인기가 한미 동맹 강화에도 도움이 될 걸로 봤다. 한국 입장에선 미국의 젊은 층이 한국문화와 한국에 대해 보내는 관심을 평생의 친밀감과 지지로 이어지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노동당에 대한 예찬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실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성휘 기자 sunnyki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