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도발' 표현, 김정은이 싫어해 안썼나…정의용에 물으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지훈 기자, 하수민 기자] [the300] [2021 국정감사]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10.20/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한반도 현상 유지라는 것은 상항 악화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우리 국민에게 (정부가) 대북 인도적 지원, 종전선언같은 말만 외치고 있다. 구태의연하게 계속 외치고 있는것이 정서에 맞다고 보느냐"라는 질의를 받고 이 같이 답했다.

정 장관은 북한을 계속해 대화로 유도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에 보탬이 된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를 여전히 검토해야 하는지에 대해선 "북한이 더 이상 핵 미사일 능력 발전시키지 못하도록 조치 조속히 취해야한다고 믿고 있다"며 "제재 완화, 대화에 응하면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도 협상 테이블에 올려 놓고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태 의원은 전날 북측의 SLBM(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시험을 두고 대통령 직속 국가안전보장위원회(NSC) 상임위원들이 '깊은 유감'만 표명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도발'이란 언급이 나오지 않은 것과 관련, "혹시 김정은 남매가 도발이라는 단어를 싫어해서 그러느냐"라고 질의했다. 그러자 정 장관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9월15일 우리 군의 첫 SLBM 잠수함 발사를 참관한 뒤 우리의 SLBM이 북측 도발에 대한 대응은 아니라고 언급하면서도 "우리의 미사일전력 증강이야말로 북한의 도발에 대한 확실한 억지력이 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자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북한 대외선전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 발표한 담화를 통해 "한 국가의 대통령으로서 우몽하기 짝이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도발' 발언을 문제시했다.

김지훈 기자 lhshy@mt.co.kr, 하수민 기자 breathe_i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