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하마스 대변인 "이스라엘 인질 얼마나 살아있는지, 아무도 몰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구 휴전+이스라엘군 완전 철수'도 요구

머니투데이

오사마 함단 하마스 대변인의 모습이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단계별 휴전안 제안과 관련해 영구 휴전과 이스라엘군의 완전 철수를 보장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하마스 측은 현재 이스라엘 인질이 얼마나 살아있는지 파악이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마스 대변인이자 정치국 위원인 오사마 함단은 13일(현지시각) 공개된 CNN과 인터뷰에서 인질 중 몇 명이 살아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난 그것에 대해 전혀 모른다"며 "이것에 대해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지난 8일 이스라엘이 인질 4명을 구출하는 작전 과정에서 미국인 1명을 포함한 3명이 사망했다는 주장도 내놨다. 현재 가자지구에 억류된 인질은 약 120명으로 파악되지만, 현재 이 중 몇 명이 살아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가자지구 '3단계 휴전안'을 발표한 바 있다. 휴전안은 1단계에서 6주 휴전 기간 인질 일부를 석방하고, 2단계 영구 휴전과 전면 철군으로 전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3단계는 가자지구 주요 재건 계획 실시 및 사망한 인질 시신 유가족 송환 등의 내용이 담겼다.

다만 협상이 1단계 협상에서 6주를 넘기더라도 대화가 계속된다면 휴전 기간은 연장된다. 여기에 하마스가 합의 사항을 이행해야 한다는 내용이 단서로 달렸다.

이후 하마스 측은 약 12일이 지난 11일 미국 측에 '즉각 종전과 이스라엘 철군' 등 수정 사항을 담아 답변을 전달했다. 함단은 "미국이 제안한 이 휴전안이 하마스 측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스라엘은 6주만 휴전하고 그 후 다시 전투로 돌아가길 원하는데, 미국은 이스라엘이 (영구 휴전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지 못했다"며 "이스라엘이 영구 휴전을 받아들이도록 미국이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2일(현지시각) 도하에서 셰이크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카타르 총리 겸 외무장관과 기자회견을 갖고 "하마스가 미국이 제안한 3단계 휴전안에 수정안을 제안했지만 일부는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2024.06.13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재국인 미국은 "하마스가 이전에 취했던 입장을 넘어섰다"며 실망감을 표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일부 변경 사항은 실행할 수 있으나 일부는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13일 NBC와 인터뷰에서도 하마스를 향해 "흥정을 멈춰야 한다"며 전쟁을 끝낼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하마스가 휴전 협상의 열쇠를 쥐고 있다며 공을 돌렸다. 그는 이날 이탈리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G7, 이스라엘이 지지한 휴전안"이라며 "지금까지 가장 큰 걸림돌은 하마스"라고 말했다.

반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하마스를 완전히 제거할 때까지 군사 작전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하마스 측은 이번 전쟁을 촉발한 지난해 10월7일 이스라엘 공격 작전을 후회하냐는 질문에 "점령에 대한 반작용이었다"며 전쟁의 책임이 이스라엘에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함단은 "그들의 점령에 저항하지 않으면 그들은 우릴 죽이고 나라 밖으로 추방할 것"이라며 "무엇인가라도 해야지, 그냥 기다리라는 거냐"고 반문했다.

가자지구 내 하마스 최고 지도자인 야흐야 신와르가 문자 메시지에서 "민간인 사망은 필요한 희생"이라고 발언했다는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는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함단은 "(팔레스타인) 국민을 자극하기 위해 누군가 거짓으로 작성해 WSJ에 보낸 것"이라며 "누구도 팔레스타인인, 동족을 죽이는 걸 용납할 수는 없다"고 일축했다.

이지현 기자 jihyun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