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오징어 게임' 전세계 돌풍

계속되는 ‘오징어 게임’ 열풍…이번엔 美워싱턴포스트가 암호 해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WP 도쿄지사장인 한국계 기자가 동영상 곁들여 설명

헤럴드경제

오징어 게임의 한 장면. 참가자들이 ‘달고나’를 통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미국 유력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22일(현지시간)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미국 시청자들이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을 더 잘 이해하는 법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

WP는 이날 홈페이지에 “한국인이 아닌 이들을 위한 ‘오징어 게임’의 숨은 언어와 신호 해독”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큼지막하게 실었다.

WP 도쿄지국 지사장인 한국계 기자 미셸 예희 리가 작성·제작한 기사다. 그는 직접 출연해 제작한 동영상을 기사에 곁들여 오징어 게임 등장 인물의 이름과 이력, 등장 인물 간 호칭 등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특수한 의미를 설명했다.

한국사회와 문화를 잘 알지 못한 채 자막만으로는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지점들을 일러준 것이다.

기사에는 등장인물 ‘한미녀’와 ‘오일남’의 이름이 사례로 등장한다. 외국 시청자들은 금방 눈치채기 어렵지만 한국 시청자들은 ‘미녀’와 ‘일남’이라는 이름에서 캐릭터의 성향을 일정 부분 파악할 수 있다는 얘기다.

미녀는 ‘아름다운 여성’, 일남은 ‘첫째 아들’ 또는 ‘첫 번째 남자’ 등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쌍문동 자랑으로 등장하는 상우가 서울대를 간 것으로 설정돼 있는 것에 대해서도 쌍문동과 서울대가 각각 평범한 근로자층의 동네와 출세 발판을 상징한다는 설명이 기사에 등장한다.

기사는 또 주변 사람들을 ‘사장님’으로 부르는 알리가 상우를 ‘형’으로 부르게 되는 과정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외국인 노동자가 갖는 지위와 형이라는 호칭이 갖는 특별한 의미 등을 설명한다.

오징어 게임에 등장한 ‘달고나’와 ‘깐부’ 등에 대한 설명도 이어진다. 생소할 수밖에 없는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 WP 독자들이 오징어 게임을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미셸 예희 리 기자는 서울 태생으로 알려졌다.

sooha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