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전국 최초 민간·행정·경찰 협업, 종합 관리 체계 구축
[서울=뉴시스]25일 개소한 서울 서초구의 서초아동보호대응센터. (사진=서초구 제공). 2021.10.25.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서울 서초구는 25일 전국 최초로 아동학대 신고부터 사후관리까지 대응·관리하는 '서초아동보호대응센터'를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양부모의 학대로 세상을 떠난 '정인이' 사건 당시 경찰·자치구·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유기적 협조가 이뤄지지 못한 것이 허점으로 지목된 바 있다.
서초구는 이날 문을 연 아동보호대응센터를 통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아동학대 사건에 대해 유기적·총체적인 시스템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아동보호대응센터에는 전담 공무원과 경찰, 아동보호전담요원, 심리치료사 등 9명의 전문 인력들이 상주한다. 아동학대 초기개입, 아동보호조치, 아동학대 예방교육 등을 통해 촘촘한 아동보호 대응체계를 구축해 나간다.
이후 경찰, 공무원, 아동보호 전문기관, 변호사, 가족치료 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된 '아동학대사례 판정단' 회의를 통해 아동호보를 위한 사례를 판단하도록 했다. 기존에 공무원이 자체적으로 아동학대 여부를 결정하던 것에서 전문성을 크게 높인 것이다.
대응센터는 연면적 108㎡의 지상 2층 규모로 신축됐다. 그동안 높은 지가 등 지역 특성상 센터 건립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호반건설과 텐일레븐의 건축물 기부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한편 서초구는 아동대응센터 건립과 연계해 별도 부지에 아동 학대피해가 심할 경우 '즉각분리제'를 시행할 수 있는 '서초학대아동쉼터'를 조성했다.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아동학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대응 시스템의 허점을 보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됐다"며 "사전 예방부터 사후 관리까지 촘촘히 관리해 다시는 학대로 고통 받는 아이들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