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옐런-류허 통화…"거시경제 분야서 양자 간 협력 논의"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중 경제 고위급 접촉 잇따라…갈등 속 대화 국면

아시아경제

류허 중국 부총리(왼쪽)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수환 기자]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류허 중국 부총리가 화상 통화를 하고 경제와 무역 분야에서 양자 간 협력 등을 논의했다.

26일 블룸버그통신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옐런 장관과 류 부총리는 거시경제 상황, 다자·양자 간 협력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서로 실무적이며 솔직하고 건설적 대화를 나눴다면서 세계 경제의 회복 상황이 현재 중요한 시기에 놓인 가운데 양국이 소통해 거시경제 정책 분야에서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데 두 사람이 의견을 함께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옐런 장관과 류 부총리는 지난 6월 2일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화상 통화를 한 바 있다.

중국 측은 이번 통화에서 미국의 대중 고율관세와 자국 기업 대상 제재 취소 등 중국이 요구하는 바를 전달했다.

그간 중국은 미국과 주요 접촉 때마다 대중 고율 관세와 제재 취소를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미국은 중국과의 1단계 무역 합의 이후에도 연간 2500억 달러(약 294조원)에 달하는 중국 제품에 기존 25% 관세를 계속 부과해왔고 중국도 미국 제품에 맞불 관세를 그대로 유지해왔다.

중국 측의 이런 요구에도 바이든 행정부는 이달 들어 대중 고율 관세 유지와 1단계 무역 합의 준수 요구를 골자로 한 대중 통상 전략의 기본 골격을 밝힌 상황이다.

특히 미 당국은 여전히 중국의 인권 문제를 거론하며 견제와 압박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 정부는 5세대 이동통신(5G)과 반도체 등 자국 첨단 산업을 겨냥한 미국의 고강도 제재에 강력한 불만을 품고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중국 기업 대상 제재가 완화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중국의 신장 위구르족 강제 노역 문제와 홍콩 민주화 시위 탄압 등 인권 문제를 지속 거론하며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과 동맹 전선을 구축해 중국 견제의 고삐를 죄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미국은 최근 중국 견제를 위한 목적으로 영국과 호주 등 영미권 국가들 간 안보 동맹인 이른바 '오커스(AUKUS)'를 출범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이 전방위 대립 속에서도 경제 분야를 포함한 고위급 접촉을 이어가면서 '갈등 속 대화' 국면이 형성되는 모양새다.

류 부총리는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에서 중국 측 협상자로 나선 인물이었다. 올 초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옐런 장관과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접촉을 계속 이어왔다.

이달 초에는 타이 대표가 중국에서 수입되는 물품 중 일부를 고율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 간의 지난 6일(현지시간) 취리히 회동을 통해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연내 화상 회담을 하는 방안도 합의됐다.

김수환 기자 ksh205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